입력 : 2025.02.20 14:28

[땅집고] 경기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추진하면서 경기주택도시공사(GH) 구리 이전 백지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남양주시가 GH의 구리 이전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나서면서 지역 갈등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경기 북부 지역 주민들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관련 기사: GH공사 이전 무산? 구리시 서울 편입 추진에…"남양주로 선회 가능성"
☞관련 기사 : 남양주 다산총연 "GH공사 구리 이전 백지화, 남양주로 이전해야" 성명 발표
남양주시의회는 지난 11일 GH를 구리시 대신 남양주시로 이전하는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그러자 구리시는 보도자료를 내고 “남양주시의회가 구리시의 서울 편입 추진을 이유로 GH 이전지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경기도와 구리시를 폄하하고 구리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유감을 표시했다. GH 이전을 놓고 이상기류가 발생하면서 구리시의회는 긴급 현안을 질문하기 위해 백경현 구리시장에게 시의회 임시회에 출석해 답변을 요구했으나 불참했다. 결국 구리시 내분으로 이어졌다.
경기도는 구리 토평근린공원에 약 1만664㎡ 규모의 GH 구리캠퍼스를 짓고 GH 임직원 650명을 배치할 계획이었다.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AI가 찾아드립니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에 힘을 실어온 김 지사에게도 이목이 쏠린다. 지역주민 중심으로 김 지사의 미온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그가 대권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는 점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 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립까지 주장하고 있지만 자칫 GH 공사 이전을 두고 경기북부 유권자 표심이 대권 가도에 큰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남양주시 인구는 73만명, 구리시 인구는 18만명으로 4배 이상 차이난다. 김 지사 취임 이후 구리부시장은 2년6개월째 공백 상태다. 구리 홀대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김 지사는 민선 8기 핵심 공약으로 제시한 지역 간 균형발전과 북동부지역의 부족한 행정 인프라 구축을 위해 산하 공공기관(8곳)의 북동부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재명 지사 퇴임 이후 공공기관 북부 이전의 동력이 떨어졌으나 김 지사가 확실한 추진 의사를 여러차례 밝혔다. 김 지사는 지난해 9월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 기자회견을 통해 “북부 주민과의 약속인 공공기관 이전은 계획대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공공기관 이전은 약속대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혼란이 이어지자 경기도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 산하기관 이전을 요구하면서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구리시의 태도가 문제”라며 “막대한 예산을 들여 이전을 추진 중인데 구리시가 서울로 편입하면 균형 발전은커녕 예산 낭비가 불가피해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hongg@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