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피 같은 보증금 "떼이지 않을 거에요."

뉴스 한상혁 기자
입력 2017.01.20 04:30 수정 2017.01.20 10:51

전세 계약 전에 이것만은 꼭!

 
먼저, 등기부등본 확인은 필수입니다.
담보대출(근저당 설정)이 있는 집은 피하는 게 좋은데요.
집주인이 빚을 갚지 못해 경매에 넘어가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대출이 있는 집에 들어가야 한다면,
‘잔금 지급과 동시에 대출을 상환한다’는 특약을
계약서에 꼭 넣고 잔금날 확인해야 합니다.
(거래 중개인에게 요청하세요!)
그것도 아니라면
차라리 월세를 선택합니다.
특히 보증금과 대출금을 합쳐 집값 70%를 넘는다면
들어가지 않도록 합시다.
선순위가 있어도 ‘소액 보증금 세입자’는
최우선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서울: 1억원 이하
-과밀억제권역 : 8000만원 이하
-광역시·세종시 : 6000만원 이하
-기타지역 : 5000만원 이하
단, 실제 변제받는 금액은 서울이 3400만원 이하,
나머지 지역도 위 금액의 3분의 1정도랍니다.

이삿날, 전입 신고와 확정일자를 꼭!
확정일자는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날짜를
동사무소 등에서 확인받는다는 뜻입니다.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할때 함께 받으면 됩니다.

이사+전입신고+확정일자가 갖춰져야만
나중에 주인이 집을 담보로 한 다른 채무가 생겨도
전세보증금에 대한 권리를
우선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보험 상품을 이용하라!
전세금을 보증해주는 상품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서울보증에서 가입하는 전세금보장보험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금반환보증.
전세금보장보험(SGI서울보증)은
보증금 한도가 없어 고가(高價) 전세도 가능합니다.
단, 집주인 동의가 있어야 가입 가능한데,
일부 집주인이 꺼리는 경우가 있어 문제.

전세금보장보험은 올 상반기 중 법개정을 통해
집주인 동의없이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고,
보증료율도 전세 보증금의 0.153%로 내릴 예정.
(현재는 보증금의 0.192%.)

전세금반환보증의 경우,
수도권 4억원, 지방 3억원 이하 보증금만 가입 가능.
아파트 기준으로 보증료율이 0.15%입니다.
집주인 동의가 없어도 가입할 수 있는 건 장점이죠.
전세금반환보증도 올해 2월부터
조건이 더 좋아집니다.
보증금 한도가 수도권 5억원과 지방 4억원으로 늘고,
보증 수수료율도 0.128%로 낮아지죠.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화제의 뉴스

건설 한파에도…"나라부터 살리자" 한라·우미건설 산불 복구 뛰어들었다
"전세금보다 싸다" 7일 동탄서 반값 아파트 줍줍 나온다…청약 조건은
30대가 47억 아파트 샀다고?…"30억은 아빠가 꽂아줬어요"
[단독]6명 자녀 상속 분쟁에 60억 아리팍이 51억으로 '뚝'
용산알짜 2600가구 한남5구역 시공사 5월 선정..DL '아크로' 유력

오늘의 땅집GO

"전세금보다 싸다" 7일 동탄서 반값 아파트 줍줍…청약 조건은
하림, 6조 양재동 사업 급변경…연내 착공 무산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