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문래동과 성수동이 살아난 비결…인구 감소 시대, 생존 도시 매뉴얼

입력 : 2025.07.14 17:09

[땅집고] 도시재생전략포럼이 최근 ‘인구 감소 시대, 새로운 도시 재생 전략’(출판사 지식공작소)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도시재생전략 포럼은 도시 재생 사업이 제대로 정착되고 지속 가능하도록 법적 지원과 새로운 정책을 제안하는 국회사무처 소관 조직이다.

우리나라 인구는 5000만 명을 넘었고, 도시화는 정점에 도달하고 있다. 도시의 인구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 65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다. 이러한 인구 구조 변화는 지방 소멸 위험을 더욱 높이고, 도시 활력을 크게 떨어뜨린다.

도시의 노후화, 인구 감소, 인프라 부족 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일까? 바로 도시 재생이다. 도시재생전략포럼은 수년간 국내외 도시 재생 현장을 발로 뛰며 현지 전문가들과 토론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이 책은 도시 재생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오랜 기간 국내외 도시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살펴본 구체적 전략서이다.

☞[50% 할인] 입찰가부터 수익률 계산까지…경매 초보에 딱맞는 AI 퀀트 오픈!

[땅집고] 도시재생전략포럼이 출판한 '인구감소 시대 새로운 도시 재생전략'/한국주택학회

이 책은 새로운 도시 재생 전략을 제시한다. 과거 도시 재생이 주로 관 주도였던 것에 비해 도시재생전략포럼은 민간주도 내지는 민관 합동으로 도시 재생을 추진하는 민간 주체 역할을 강조한다.

지방 소멸로 요약되는 현재의 지방 도시 쇠퇴는 역으로 수도권의 일극 집중으로 수도권−지방 간 격차를 더욱 크게 하고 있다. 동시에 수도권 내에서도 지방 못지않은 도시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결국 도시 간 격차는 서울−지방만의 문제가 아니다. 수도권도 도시 간 양극화와 쇠락의 과정을 겪고 있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했다.

제1부는 해외 도시 재생 전략은 메트로폴리탄과 지방 중소 도시로 크게 나누어 살핀다. 1장은 세계 3대 도시(뉴욕, 런던, 도쿄)의 도시 재생 전략을 살펴본다. 2장은 공해섬에서 예술섬으로 재탄생한 나오시마 사례, 3장은 콤팩트(compact) 시티로 잘 알려진 도야마시 사례, 4장은 일본에서 인구 감소 시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주민이 증가하면서 도시 재생의 성공 사례로 잘 알려진 홋카이도의 히가시카와정 사례를 살펴본다.

제2부는 서울 도시 재생 전략에서는 서울의 대표적인 구도심 지역의 네 가지 도시 재생 사례를 검토했다.

5장은 서울시가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마포구 합정동의 ‘합마르뜨’ 도시 재생 사례, 6장은 서울 종로구 익선동 한옥마을, 성동구 성수동 연무장길과 같은 하이브리드 도시 재생 지역과 그러지 못한 지역을 대비하면서 도시 재생의 성공 요인을 살펴본다. 7장은 서울역 뒤편의 청파·서계 지역을 유래와 도시 재생 현황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8장에서는 철공소와 예술 감성이 공존하는 문래동 사례를 정리했다.

제3부에는 서울 외의 도시 재생 사례로 부산과 일산을 살펴보았다. 9장에서는 인구 감소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산의 민관협력적 재생 방안을 살펴보았다. 10장에서는 1기 신도시 중 노후 신도시 재정비에 초점이 되는 일산 신도시의 도시 재생 전략을 살펴보았다.

도시재생전략포럼은 도시 재생 사업이 제대로 정착되도록 법적 지원, 새로운 정책을 제안하는 국회 산하 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도시 재생을 통해 우리나라의 도시 양극화를 극복하고, 커뮤니티와 지역 자산 회복을 위한 새로운 도전을 지원하고 돕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도시 재생 주체들과의 협력과 교류를 위한 플랫폼을 마련하고 생생한 현장 중심의 실사구시 활동을 지향하고 있다.

이상영(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서정렬(영산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김현아(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초빙교수), 김경희(도시재생전략포럼 사무국장, 부동산학박사), 김미선(명지대학교 부동산학박사), 김순길((주)마이베스트 부동산자산관리대표, 부동산학박사, 도전포럼 감사), 김숙현(웰스자산관리연구소 소장), 박장호(명지대학교 부동산학박사), 호혜연(명지대학교 부동산학박사), 이동주(드림부동산투자자문 대표, 부동산학 박사), 정은상(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겸임교수)등이 필자로 참여했다. 이상영 명지대 교수는 “도시 재생 관련 연구자, 업계 공무원, 정치인 등 관련 학회나 관련 단체, 관련 기관, 관련 업계 종사자라면 꼭 읽어 보아야 할 전략서”라고 밝혔다. /hbcha@chosun.com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