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5.07.06 11:38 | 수정 : 2025.07.06 14:54
[땅집고]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 한도로 제한하는 고강도 규제를 내놓자 은행권 대출 신청액이 반토막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거래량이 꺾이면서 가계대출도 영향을 받은 것이다.
6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대출 규제 발표 후 첫 주인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은행권 서울 지역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이 총 3500억원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출 규제 발표일 직전 주(6월 23~27일) 일평균 신청액이 7400억원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52.7% 줄어든 수치다.
더불어 정부가 예고 없이 규제를 발표한 지난달 27일에는 하루 신청액이 1조원에 달해, 규제가 시장에 곧바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대출 규제 효과와 연결되는 대출 신청액과 승인액을 중점적으로 확인 중이다. 실제로 가계대출 실행액은 주택 매매 시기와 1~3개월가량의 시차가 있다. 반면 대출 신청액 등은 매매 계약 시점과 시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시장 심리와 동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끌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에서 대출 신청액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강남권 아파트 매수 심리도 두 달 만에 사그라든 분위기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6월 5주(6월 30일 기준) 서울 동남권인 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5월 첫째 주(100.8) 이후 7주 연속으로 오르던 이 지수가 돌연 하락 전환한 것이다.
☞당신의 아파트 MBTI, 땅집고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이 같은 현상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근 강남권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터라 대출액 규모도 클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면서 “대출액 감소 추세도 강남 3구와 마용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줄이면서 은행들이 소극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해 신청액이 줄어든 영향도 있다. 금융당국 목표치에 따라 올해 하반기 가계대출은 기존 총량 목표 대비 10조원 이상 감소해야 하기 때문니다.
다만 한두 달 전 미리 대출을 신청한 규모가 상당한 점을 고려하면 7월 대출 증가세가 꺾이긴 어려울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금융위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이 막히면서 개인사업자 대출 등 법인 대출이 투기 경로에 쓰이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대출 재원이 더 생산적 분야에 유입되어야 한다"고 했다. /leejin0506@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