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정부 부동산 대책 효과 있으려면…하나금융연구소 "신규 주택 부족, 공급 뒤따라야"

입력 : 2025.07.02 11:00 | 수정 : 2025.07.04 11:11

[땅집고] 이재명 정부가 야심차게 내놓은 첫 부동산 대책 ‘6·27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주택 공급이 뒤따르지 않으면 집값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최근 발간한 ‘하반기 경제금융시장전망’에서 “하반기 대출 규제 강화에도 수도권 신규 주택 부족에 따라 수도권 신고가가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수도권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부터 내년까지 지속 감소한다고 봤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묶이면서 매매거래가 위축될 수는 있지만 수도권 핵심지역 중심의 거래는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땅집고] 지역별 매수우위지수, 아파트 입주물량, 주택 미분양 재고. /하나금융연구소

이에 따라 서울과 지방간 집값 양극화도 심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소는 “가격 하방압력이 우세한 지방은 매물 소진이 장기화하나, 공급이 부족한 일부 지역은 회복하며 전국이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하반기 집값이 오르고 2차 추가경정예산 규모가 30조5000억원 규모로 확대된 만큼 금리 인하폭이 축소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구소는 “시중금리 하락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전망”이라며 “지방 중소건설업체 유동성 지원이 근본적인 목적이나 서울 주택시장을 제외하면 지방 및 비주택 부동산 시장은 침체상태에 있어 민간 자금의 매칭이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이어 “전국적인 부동산 시장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2차 추경의 실질적인 효과는 한계 건설사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경제 충격을 완화하는 수준으로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건설투자 부문과 관련해서는 “누적된 착공 부진 영향으로 주택 미분양이 증가하고 건설사의 경영환경이 악화해 투자가 감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rykimhp206@chosun.com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