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전자파 공장? 우린 대환영" 혐오시설 대표주자, 오히려 반기는 이유

입력 : 2025.06.26 06:00

[땅집고] “고양시는 데이터센터 건축허가 반려하라!” “남양주에 대기업이 들어온다니 좋은 소식이네요.”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 전경. 데이터센터 안산은 12만 대의 서버를 보관할 수 있는 전산동(왼쪽)과 직원들이 업무를 보는 운영동(오른쪽)으로 구성돼 있다./카카오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생태계 심장으로 불리는 데이터센터 확보를 위해 총력을 다하는 가운데, 데이터센터 건립을 놓고 상반된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고양에서는 데이터센터가 전자파와 소음, 열을 방출해 인체 피해를 야기한다며 ‘결사 반대’를 외치는 반면, 남양주에서는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해 ‘환영 인사’현수막을 내걸었다.

[땅집고] 데이터센터 내에 설치되는 '액체 냉각' 장비. /삼성전자

■ ‘님비’ 상징된 데이터센터, 도심 접근성 따진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컴퓨터에 데이터를 모아두는 시설이다. 적게는 수백대, 많게는 수만대 컴퓨터를 동시에 운영해 대규모 전력이 필요하다. 문제는 이로 인해 전자파와 열 방출이 우려된다며 ‘님비(NIMBY·NOT IN MY BACK YARD)’ 시설로 전락했다.

통상 데이터센터는 전력 수급과 냉각수 확보가 용이한 입지에 들어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안 유지를 위해 도심과 먼 지역에 자리잡아야 한다는 시각도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도심 접근성이 중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술 발전으로 전력 소비와 냉각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됐고, 화재 등 비상 시 빠른 대처와 인재 확보가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해서다. 이는 2022년 10월 발생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더욱 두드러지는 추세다.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AI가 찾아드립니다
[땅집고] 경기 고양시의 한 아파트 단지 외벽에 GS건설의 데이터센터 건립을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땅집고DB

■ 고양·용인 “전자파 내뿜는 데이터센터 결사 반대”

이로 인해 최근 수도권에서는 데이터센터 개발이 활발하다. 다만, 그만큼 주민 반대가 만만치 않다. 최근 관련 논란이 가장 뜨거운 지역은 경기도 고양시다. 디벨로퍼 신영에스앤디가 일산동구에 데이터센터 2개를 짓겠다고 밝히면서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신영에스앤디는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에 지하5층~지상3층, 연면적 8만3379㎡ 규모 데이터센터를 짓기로 했다. 예상부지와 위시티 일산자이2단지까지 거리는 150m 정도다. 최근 고양시는 건립 계획안 재심의 결정을 내렸다. ‘아파트와 근접한 사업 부지의 배치 계획 완화’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달았다. 신영에스앤디는 이곳에서 약 2.5㎞에 떨어진 일산동구 문봉동에도 연면적 4만9977㎡ 데이터센터를 지을 예정이다. 마찬가지로 주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용인 기흥구 고매동에서는 데이터센터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릴레이 시위에 나서는 일이 발생했다. 인근 주민 5000여명은 지난 달 용인시에 개발 반대 탄원서도 제출했다. 시가 중재 의견을 냈으나, 아직 갈등이 여전하다.

☞당신의 아파트 MBTI, 땅집고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땅집고] SK와 AWS가 울산에 짓는 AI 데이터센터 위치와 정보. /그래픽=송윤혜

■ 울산·남양주 “웰컴 데이터센터”

이런 가운데 ‘찬밥 신세’인 데이터를 쌍수들고 환영하는 지방자치단체가 하나 둘 나오고 있다. 울산광역시가 대표적이다. 울산시는 올해1월 SK그룹이 세계 1위 클라우드 기업 아마존웹서비스와 함께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 내에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겠다고 밝히자, 건축허가를 단 5개월 만에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울산에는 2027년 말 국내 최대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가 들어서게 됐다. 시는 이를 계기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관련 기업의 울산 유치가 용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 남양주에서도 비슷한 분위기가 나타났다. 최근 카카오가 남양주 왕숙신도시에 6000억원을 투자해 2029년까지 데이터센터를 짓겠다고 발표하자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대기업이 점찍은 왕숙” “엄청난 호재일 것” 등의 긍정적인 반응이 잇따랐다.

☞ 손품, 발품 다 팔아도 없던 내 맞춤 아파트 여기에 다 있네!

부동산 전문가는 인구 유입, 일자리 확보 등 지자체가 처한 상황에 따라 반응이 갈린다고 분석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면 세수 확보와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이룰 수 있어서 빈 땅으로 두는 것 보다는 지역자치단체와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자파 피해 등을 우려하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결국 지자체 상황에 따라 데이터센터 유치에 대한 시각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westseoul@chosun.com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