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5.06.22 06:00
[땅집고] 국내 최대 규모로 추진하는 ‘동탄 초대형 물류센터’ 개발이 장기 표류 위기에 놓였다. 지역주민 반발에 이어 정치권까지 가세해 사업 전면 철회를 주장하는 가운데 화성시와 오산시 지방 자치단체 간 갈등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축구장 73개 크기의 초대형 물류센터 개발을 화성시와 시행사가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다는 비판도 커지고 있다.
20일 경기도와 화성시 등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달 22일 ‘화성 동탄2 유통업무설비(유통3) 신축공사 교통영향평가’ 회의에서 조건부 수정의결을 내렸다. 도는 이 내용을 화성시에 통보했다. 경기도는 화성시가 인접 지자체인 오산시와 교통대책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할 것을 조건으로 달았다. 이에 따라 화성시는 수정 계획안을 다시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20일 경기도와 화성시 등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달 22일 ‘화성 동탄2 유통업무설비(유통3) 신축공사 교통영향평가’ 회의에서 조건부 수정의결을 내렸다. 도는 이 내용을 화성시에 통보했다. 경기도는 화성시가 인접 지자체인 오산시와 교통대책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할 것을 조건으로 달았다. 이에 따라 화성시는 수정 계획안을 다시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 손품, 발품 다 팔아도 없던 내 맞춤 아파트 여기에 다 있네!

해당 물류센터는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 1131번지 일원에 들어설 계획이었다. 사업시행사인 ‘에프엔동탄제일차’는 지하 4층~지상 20층, 높이 121m, 연면적 51만7969㎡ 규모의 초대형 물류 복합시설을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이는 서울 코엑스의 2배, 쿠팡 대구 첨단물류센터(약 33만㎡)보다 훨씬 큰 국내 최대 규모 수준이다.
■ 오산시장, 지역구 이준석 국회의원도 백지화 요구
문제는 오산시가 강경한 반대 입장을 고수 중이다. 이권재 오산시장은 19일 시민 150여 명과 함께 물류센터 백지화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 시장은 “이번 사안은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경기 남부권 전체의 교통안전과 생활환경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오산과 동탄 주민 모두가 한뜻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이 시장은 “물류센터 예정지가 오산을 거쳐 용인·안성·평택 등지로 이동하는 물류 차량으로 인해 2030년에는 하루 약 1만7000대가 오산을 통과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오산은 교통지옥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오산시는 화성시에 공식 의견서를 제출하고, 인허가 절차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할 계획이다.

정치권도 가세했다.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인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최근 사업 철회를 지지하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지역 주민들 역시 교통 혼잡과 환경 피해를 우려하며 꾸준히 반대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화성시는 곤란한 입장이다. 행정문제로 착공이 지연되거나 철회가 될 경우 시행사가 화성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울에도 떴다” 단기임대 글로벌 끝판왕 블루그라운드, 지금 예약하기
■ 용도 변경도 과정도 논란
이 사업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지난해 말 화성시의 시설 조성계획 고시 이후 본격화됐고, 지난달 조건부로 교통영향평가 승인을 받았지만, 오산시와 정치권에서도 반대 입장을 공식화하면서 제동이 걸린 상태다.

화성시는 2023년 12월 동탄2 유통3부지에 대해 물류시설 용도변경을 승인했다. 그러나 이 결정은 지역주민과의 협의는 물론, 다른 시군에서 일반적으로 거치는 도시계획위원회 절차를 생략했다. 통상 도계위를 통해 개발계획을 검토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과정을 거쳐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지만 화성시는 이 같은 절차 없이 용도변경을 승인해 논란이 일고 있다. 동탄 물류단지를 반대하는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인허가 절차의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절차상 문제가 많은 만큼, 피해 주민들이 함께 사업 취소 소송도 검토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화성시 관계자는 “2010년 개발 계획 수립 당시 해당 부지의 하역·저장 기능이 누락된 오류를 바로잡는 경미한 변경이었기 때문에 도시계획심의를 생략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사업이 장기 표류할 경우 시행사의 재무 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시행사는 2022년 토지 매입 당시 브릿지론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고, 이후 4년째 본PF(프로젝트파이낸싱) 전환에 실패한 상태다. 현재까지 연간 약 100억원에 달하는 이자를 부담하고 있어, 개발이 장기화될 경우 재무 위험도 커질 수 있다. 시행사 측은 토지매입과 이에 따른 이자부담 등을 내세우며 당초 계획 변경 없이 사업을 진행시키고 싶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hongg@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