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용산 땅 개발하면 우리도 월세 통장 생긴다"…용산 주민들 들썩

입력 : 2025.06.04 10:15 | 수정 : 2025.06.04 10:37

[땅집고] 서울시가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 등 주요 사업에 ‘지역상생리츠’ 본격 도입해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개발이익을 함께 누리는 길을 열어준다.

서울시는 주요 도시개발사업 등 주요 사업에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개발이익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지역상생리츠’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올해 하반기부터 사업 타당성 분석을 거쳐 지역상생리츠 시범사업을 선정해 2027년부터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땅집고] 용산국제업무지구 지역상생리츠 도입예정부지./서울시

리츠(REITs)는 다수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고 이익을 나눠주는 부동산투자회사다. 전체 주식의 30% 이상을 지역과 관계없이 불특정 다수에게 공모한다. 그 때문에 개발이익이 지역주민보다는 외부 투자자에게 분산되는 한계가 있었다.

서울시가 도입을 검토 중인 ‘지역상생리츠’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해당 지역주민에게 우선 공모가 가능하다. 지역 내 개발이익이 시민에게 직접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지난 5월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으로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서울시는 지역주민이 안정적으로 투자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리츠 사업 경험을 갖춘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서울투자운용주식회사(AMC) 등과 협력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에 시민참여형 개발 모델을 선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내 SH공사에서 직접 개발하는 B9부지(예정)를 대상으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사업의 성과와 이익을 나누는 ‘시민 동행 개발’을 추진한다.

☞ 손품, 발품 다 팔아도 없던 내 맞춤 아파트 여기에 다 있네!

용산국제업무지구 외에도 서울시가 직접 개발하거나 매각을 추진 중인 공공부지, 저이용 공공부지를 활용한 민관협력사업 등 복수의 개발사업에서 ‘지역상생리츠’ 도입을 검토 중이다. 지역필요시설, 공공자산 수익사업 등에도 지역상생리츠 적용 방안을 모색 중이다.

관련 법령 시행 시점인 올해 11월 28일에 맞춰 서울시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부·전문가·사업자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하위법령 정비, 투자자 보호장치 마련, 세제 지원 등 제도 기반 마련을 추진한다.

민간사업의 경우, 규제보다는 공공기여율 완화 등 다양한 인센티브 유도 방안을 검토하여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방침이다. 투자자 보호장치 강화, 투명한 정보공개, 안정적인 수익 배당 등 신뢰성 있는 투자 환경도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2025년 하반기에는 사업 타당성 분석을 거쳐 지역상생리츠 시범사업을 선정한다. 2026년에는 공모지침 마련, 사업자 공모를 진행해 2027년부터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연 단위 성과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범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서울 전역으로 확산 가능한 맞춤형 모델도 개발할 예정이다.

또 부동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증권형 토큰(STO)으로 발행하는 ‘부동산 디지털 자산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소액 투자자도 상업용 부동산에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지역상생리츠는 일부 소수에게만 집중되었던 개발이익을 시민과 공유의 영역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시도”라며 “서울시 시정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을 다양한 개발사업 분야까지 확장해, 시민과 함께 만들어나가는 ‘동행 개발의 시작’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raul1649@chosun.com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