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5.04.08 20:49 | 수정 : 2025.04.08 20:50
[땅집고] 충북 1위 건설사이자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 기준 96위 건설사인 대흥건설이 자금난으로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됐다. 이로써 올해 들어 쓰러진 중견 건설사만 9곳째라 업계에서 연쇄 도산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지난 7일 대흥건설은 공시를 통해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신청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은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과 감사 절차 실시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제공받지 못했다”면서 감사 의견 거절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사업 확장 과정에서 지방 지역 생활형숙박시설 사업에 무리하게 뛰어든 것이 법정관리의 원인이 됐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등록된 2023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대흥건설은 경기 안산시, 강원도 평창군, 부산 괘법동, 경북 영덕군 등 지역에 생활형숙박시설을 시공하며 책임준공 약정을 맺었다. 이 과정에서 1143억원 규모 중도금 대출에 대한 연대보증을 제공한 것이 회사 재무건전성을 악화시킨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으면서 전국 곳곳 생활형숙박시설에서 미분양이 터지는 바람에 대흥건설 역시 분양률 저조로 유동성 위기에 처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편 올해 들어 중견·중소건설사의 법정관리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1월 시공능력평가 58위인 신동아건설과 대저건설(103위)을 시작으로 ▲2월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삼정기업(114위) ▲3월 벽산엔지니어링(180위) ▲4월 이화공영(134위) 등이다. 이번 대흥건설이 올 들어 9번째다.
업계에선 중견·중소건설사가 무너지는 경우 해당 기업 뿐 아니라 협력업체와 하도급 업체들까지 연쇄 부도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현재 부동산 경기 침체가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 원자재 가격 인상 등 대내외적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어, 분양 사업 실패로 인한 자금난을 겪다 결국 부도 처리되는 건설사가 더 나올 가능성이 점쳐진다. /leejin0506@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