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5.03.31 10:41
[땅집고] 지난달 서울시가 서울 강남 지역 등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한 이후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전달보다 4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방 위주의 악성 미분양 물량이 크게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가 서울과 지방의 주택 거래 양극화를 심화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4743건으로 전달 3233건 대비 46.7% 급증했다. 서울 주택 매매 거래 규모가 오름세로 바뀐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늘어난 거래 물량 중 23%가 강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에서 발생했다. 이들 지역의 거래량이 1680건으로 전월 대비 47.1% 늘어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 주택은 2013년 10월(2만 4667가구) 이후 1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로 늘어났다. 2월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2만 3772가구로, 전월 대비 3.7% 증가했다. 그중 지방 물량(1만9179건)이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공급 선행지표인 주택 인허가와 착공은 전월보다 위축됐다.
2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 2503가구로 전월 대비 44.3% 감소했다.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7003가구로 전월보다 53.7% 감소했고, 지방은 5500가구로 전월 대비 24.9% 줄었다.
2월 분양 물량은 5385가구였는데, 전월에 비해 27.6% 감소했다. 이마저도 서울과 수도권 분양 물량이 0가구로 모두가 지방 물량이다. 수도권과 지방간 주택 수급 문제가 더 심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rykimhp206@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