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아파트 매매거래 서울 47% 늘어…지방은 역대급 악성 미분양

    입력 : 2025.03.31 10:41

    [땅집고] 지난달 서울시가 서울 강남 지역 등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한 이후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전달보다 4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방 위주의 악성 미분양 물량이 크게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가 서울과 지방의 주택 거래 양극화를 심화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땅집고]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단지 전경./조선DB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4743건으로 전달 3233건 대비 46.7% 급증했다. 서울 주택 매매 거래 규모가 오름세로 바뀐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늘어난 거래 물량 중 23%가 강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에서 발생했다. 이들 지역의 거래량이 1680건으로 전월 대비 47.1% 늘어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 주택은 2013년 10월(2만 4667가구) 이후 1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로 늘어났다. 2월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2만 3772가구로, 전월 대비 3.7% 증가했다. 그중 지방 물량(1만9179건)이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공급 선행지표인 주택 인허가와 착공은 전월보다 위축됐다.

    2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 2503가구로 전월 대비 44.3% 감소했다.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7003가구로 전월보다 53.7% 감소했고, 지방은 5500가구로 전월 대비 24.9% 줄었다.

    2월 분양 물량은 5385가구였는데, 전월에 비해 27.6% 감소했다. 이마저도 서울과 수도권 분양 물량이 0가구로 모두가 지방 물량이다. 수도권과 지방간 주택 수급 문제가 더 심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rykimhp206@chosun.com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