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5.02.28 09:48 | 수정 : 2025.02.28 10:01
[땅집고] 지난 1월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한 달 전보다 6.5% 증가해 11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경기 평택에서 미분양 물량이 6000가구대로 급증하면서 지방뿐만이 아닌 경기도도 미분양 주택이 증가세다.
최근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100위권 안팎인 기업들이 하나둘씩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미분양 주택 증가로 인해 건설사의 줄도산 현상이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지난해 불거졌던 ‘4월 위기론’까지 다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100위권 안팎인 기업들이 하나둘씩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미분양 주택 증가로 인해 건설사의 줄도산 현상이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지난해 불거졌던 ‘4월 위기론’까지 다시 대두되고 있다.

■ 평택 미분양 6438가구 폭증…대구 악성미분양도 지속 증가세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로 지난해 12월 대비 2451가구(3.5%) 증가했다.
미분양 주택은 주로 수도권에서 증가했는데, 특히 평택에서 6438가구 규모 미분양이 대거 발생했다. 전달인 지난해 12월 4071가구보다 2367가구(58%) 증가했다.
평택에서는 최근 공사중단 등 악재가 거듭되는 화양지구(현덕면 화양리 일대 279만여㎡) 도시개발사업 등에서 미분양 물량이 대거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신의 아파트 MBTI, 조선일보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이 같은 물량이 대거 반영돼 경기 미분양 물량은 1만5135가구로 한 달 새 2181가구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전월 대비 1392가구(6.5%) 증가한 2만2872가구로 나타났다. 2013년 11월(2만2227가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 401가구(15.0%), 부산 382가구(20.3%), 경남 257가구(14.5%) 증가했다.

여기에 주택 공급의 선행지표인 연초 인허가·착공 등의 실적도 위축됐다.
1월 주택 인허가는 2만2452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다.
다만, 수도권 인허가 물량이 1만5128가구로 37.9% 증가한 점은 다행스런 부분이란 평가다. 지방(7324가구)에서 50.7% 감소했다.
☞아직도 발품파세요? AI가 찾아주는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1월 주택 착공은 1만178가구로 작년 같은 시기보다 55.7% 감소했다. 수도권과 지방에서 모두 크게 감소했다. 수도권 착공(3985가구)이 68.4%, 지방(6193가구)은 40.1% 줄었다.
■ 4월 위기설 또 나오나…“일부 기업 도산 감수해야 할 것”
지난 27일 작년 시공능력평가 116위인 안강건설과 71위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지난달에 시평 58위 신동아건설, 103위 대저건설에 이어 불과 2개월 만에 건설사 2곳이 위기를 맞고 있다.
지방 악성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는 것은 건설사의 자금 건전성에 치명타인만큼 앞으로 건설사들의 줄도산 현상이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 3년간 PF대출의 규모는 꾸준히 증가했으나 최근 연체율의 상승추이는 다소 완만한 것으로 나타난다”며 “이런 추세라면 단기에 위기설이 실현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전체 시스템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지만 일부 기업의 부도같은 것은 감수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했다. /rykimhp206@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