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2년7개월 만에 역대급 상승…다시 활활 타는 서울 집값

    입력 : 2024.06.23 14:34 | 수정 : 2024.06.23 14:58

    [땅집고]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지속 상승하면서 지난 부동산 호황기를 연상케하고 있다.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 대출의 영향과 금리 및 세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서울 핵심지 집값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땅집고] 서울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 파크포레온'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하지만 지방은 여전히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여 지역별 양극화가 더 심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다시 오르는 서울 집값, 2년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

    서울의 집값이 상승세를 탄 시점은 지난 3월 말 이후 쯤이다. 23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에 따르면 6월 셋째주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0.15% 상승해 2년 7개월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3월 셋째주 보합, 넷째주 상승 전환한 뒤 이달까지 13주 연속 올랐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조사 결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11억6939만원으로 역대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직전 최고가는 2022년 4월 11억5700만원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지난달 총 4404건으로 석 달 연속 4000건을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최근들어 들썩이는 이유로 업계에선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부 정책 대출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한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출산가구에 한해 9억원 이하 주택에 5억원 한도로 자금을 지원하는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상품이다. 현재 약 6조원 정도가 시중에 풀렸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일반 대출과 달리 차주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지 않고, 금리도 최저 1~2%대로 낮다. 신혼·출산 가구가 이 대출을 활용해 중저가 주택을 구입하면서 6억원 이하 아파트 값이 상승했고, 연쇄적으로 갈아타기 수요가 겹치면서 중고가 주택 가격까지 상승세를 타는 모습이다.

    이와함께 4월 총선 이후 정부와 여당, 야당에서 종합부동산세 및 세제 개편 이야기가 나오면서 주택 구입 심리를 더 불지폈단 분석이다. 특히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완화 방안은 야당에서도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 서울의 ‘똘똘한 한 채’ 구입 심리가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 인기 지역선 노후 단지도 가격 강세…“지역별 양극화 심화할 것”

    예전에는 신축 단지 열풍이 강했다면, 최근에는 인기 지역에선 기존 아파트마저도 가격이 오름세다. 금리와 공사비 상승으로 신축 아파트 분양가가 역대급으로 치솟으면서, 주거여건이 우수한 지역에선 신축·기존 아파트를 가리지 않고 매수세가 오름세다.

    최근 신고가가 계속 이어지는 마포구에서는 망원동에 2004년 입주한 20년차 아파트 ‘휴먼빌’ 59㎡가 지난달 6일 8억9000만원에 팔려 직전거래 7억8500만원보다 1억500만원 높게 팔리며 신고가를 다시 썼다. 마포구 중동 ‘건영월드컵’ 125㎡도 10억50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는데, 직전 최고가 거래(7억3700만원)보다 3억1300만원 뛰어올랐다.

    마포구 공덕동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강남권이나 용산 등의 아파트는 가격이 이미 넘볼 수 없을 정도로 치솟다보니 마포구까지 수요가 넘어온다”며 “공사비가 올라 현재 가격 수준으로 같은 주택을 다시 지을 수 없다는 인식 때문에 노후 단지까지도 매수세가 확대됐다”고 했다.

    다만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가격이 하락하는 등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서울은 지난 3월 이후 집값이 오름세지만 여전히 지방은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과 지방의 아파트 가격차가 4년째 9억원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의 평균가는 12억9967만원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체 아파트 평균가(3억5460만원)보다 9억4507만원 높았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부동산 시장 내 지역별 양극화는 물론, 자산 성격에 따른 수요 쏠림 현상도 심화되는 모양새”라며 “서울 강남 등 상급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지만 비강남권 혹은 신도시, 경기, 인천 등의 회복세는 상대적으로 더딘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 김서경 땅집고 기자 westseoul@chosun.com, 김리영 땅집고 기자 rykimhp206@chosun.com



    ▶월세 300만원인데 대기만 300명?! 초고령화 사회 한국, 시니어 주거 시설은 턱 없이 부족, 블루오션 시니어 주거 및 케어시설 개발 ☞ 땅집고M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