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노인과 바다만 남을 판" 백화점도 대학교도 문 닫은 제2 도시 부산

    입력 : 2024.03.20 14:00

    [땅집고] 부산 관련 이미지. /온라인 커뮤니티

    [땅집고] 우리나라 제2도시인 부산이 최근에는 ‘노인과 바다’로 불립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줄었는데, 그 여파로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문을 닫을 정도라고 합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제2도시에서 제3도시로 전락한다는 슬픈 전망도 나옵니다.

    ■ ‘노인과 바다’라는 제2도시, 최근엔 젊은 사람 더 줄었다

    부산의 인구 감소는 10년 전부터 등장했던 주제인데, 최근에 또 화제가 됐습니다. 유명 백화점이 문을 닫는다고 해서인데요. 바로 1995년 문을 연 현대백화점 부산점입니다. 유통 3사인 신세계·롯데·현대가 1995년 처음으로 부산에 열었던 곳이기도 합니다. 2006년 지방 최초로 3대 명품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를 유치했습니다. 2008년 명품점 현황을 보면 주요 백화점 본점과 어깨를 나란히 했을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올 7월을 끝으로, 29년 만에 문을 닫습니다.

    [땅집고] 부산 동구 범일동 '현대백화점 부산점'. /네이버지도 로드뷰

    에루샤를 품었던 백화점이 무너진 데는 여러 분석이 있는데요. 우선 이 백화점이 있는 범일동은 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서 유동인구가 많았던 곳인데 터미널이 이전하면서 상권이 좀 침체됐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게다가 강력한 경쟁 백화점이 등장했습니다. 2009년 세계 최대 규모 백화점으로 소개됐던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는 부산 상권 판도를 바꿔놨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작년에 비수도권 최초로 연 매출 2조원을 달성했습니다.

    그런데 이 백화점이 화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실 부산에서는 백화점 한 개가 문제가 아니고, 대부분 유통업체가 힘들어진 상황입니다. 2022년 6월부터 2024년 2월까지 18개월 동안 홈플러스 4곳이 문을 닫았고, 메가마트 남천점도 곧 문을 닫습니다.

    [땅집고] 최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는 부산대 상권 근황이 화제가 됐다. 온라인 커뮤니티

    대학교도 문제입니다. 아직 부산에서 학생 수 부족으로 문을 닫은 대학은 없지만, 대학가 전망도 어둡습니다. 2021년 나온 한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약 25년 동안 부산에 있는 대학의 70%가 사라진다고 합니다. 부산에서 가장 유명한 대학인 부산대학교의 근황은 최근 SNS에서 ‘박살난 부산대 상권’이라는 사진으로 소개됐습니다.

    [땅집고] 2023년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KBS부산

    ■ “전국 출산율 꼴찌, 부산진구”…저출산고령화 늪에 빠진 부산시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해서 생산가능인구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전체가 인구 감소 위기에 처했는데, 부산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400만명을 바라보던 부산 인구는 지금 300만명을 향하고 있습니다. 2016년 350만 선이 무너졌는데, 4년 만에 340만 선도 무너졌습니다. 지난 달 기준 330만명이 안 됩니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줄어드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청년계층(15~64세)이라는 겁니다. 청년들이 빠르게 줄어드니까 ‘부산에는 노인과 바다만 남았다’는 말이 나옵니다. 애들이라도 많이 태어나면 기대해볼 곳이라도 있는데, 그런 상황이 아닙니다. 부산은 출산율(0.66명)도 서울(0.55명)만큼 낮습니다. 전국 꼴찌도(부산 중구 0.31%)도 부산에 있습니다.

    인구 감소로 일부 지역에서는 빈집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부산 영도구 빈집은 2019년 827채였는데, 2022년 1265채로 1년만에 400채 넘게 늘었습니다. 문제는 인구가 줄면 이런 사회문제가 점점 더 발생한다는 겁니다.

    부산 전체에서 이런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신세계백화점이 있는 센텀시티나 마린시티 같은 곳에서는 수십억 아파트도 잘 팔립니다. 학생이 너무 많은 과밀학교도 있습니다. 서울처럼 양극화가 일어나는 겁니다.

    [땅집고] 통계청에 따르면 부산과 인천의 인구 수 차이는 10년 전(60만명)에 비해 30만명으로 줄었다. /최우정 기자

    ■ 수도권 과밀화에 그만…제2도시, 부산→인천으로?

    부산이 ‘제2도시’ 타이틀을 인천에 넘겨주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나옵니다. 부산 인구가 줄어드는 사이 인천 인구는 증가했습니다. 10년 전에는(2024년) 부산 352만명, 인천 290만명으로 60만 정도 차이가 났는데, 328만명, 300만명으로 한 30만명 밖에 차이가 안 납니다. 부산과 인천의 인구가 역전되면 수도권 집중화를 보여주는 커다란 사례가 됩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동탄신도시처럼 일자리가 있으면 사람들이 들어오고 자연스레 상권과 교통 같은 인프라가 발달한다는 겁니다.

    그러나 현재 부산에 온다는 기업은 딱히 없습니다. 부가가치가 높은 4차산업을 비롯한 이공계열, 문화·예술 산업은 취업 조차 어렵습니다.

    [땅집고] 혁신도시 가족동반 이주율. /KBS '시사기획 창'

    산업은행이 온다지만 사실 공공기관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걸 보여준 게 바로 부산혁신도시 입니다. 나주, 김천 등 인구10만 지역에 생긴 혁신도시보다는 공공기관 직원들의 정착률이 높다는 평을 받지만, 부산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입니다.

    부산 살리기는 사실 다른 지역보다 쉬울 수 있습니다. 여전히 서울 다음으로 인구가 많고요. 초대형 백화점도 있고, 해운대 같은 관광지도 있습니다. 세계 화물 물동량의 40%가 부산 앞바다를 지납니다. 관건은 있는 자원의 활용 방법입니다.

    [땅집고] 메가시티 관련 이미지. /온라인 커뮤니티

    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은 작년 인구 관련 정책보고서를 냈고, 최근에는 인구 포럼을 열었습니다. 결론은 과밀이 심화하면서 인구 유출, 상권 쇠락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만큼, 국토 균형 발전을 해야한다는 겁니다. 정치권이 서울과 부산을 메가시티로 만들자는 계획도 일맥상통하죠.

    정부는 메가시티를 위해서 30년 만에 행정체제를 개편하고, 다음 달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위원회’를 출범시킨다고 합니다. 전문가와 관계부처 다 참여하지만, 저출산위원회처럼 위원회라서 강제성이 없습니다. 그래도 일단 정부에서도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으니, 부산시가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 겠습니다. /김서경 땅집고 기자 westseoul@chosun.com


    ▶처음에 건축 기획 잘못하면 예상치도 못한 수억원이 줄줄 샐 수도 있어요! 자산 가치 높이는 건축하고 싶다면? ☞땅집고M
    ▶2050년엔 노인 인구가 40%? 초고령화로 실버 주거시설이 뜬다! 시니어 하우징 개발 ☞땅집고M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