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3.08.02 08:00
[땅집고] 아파트 건축 구조는 크게 벽식 구조, 기둥식 구조(라멘구조), 무량판 구조로 나뉜다.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무량판 구조는 보 없이 기둥만 있는 구조다. 과거 아파트 주차장은 벽 없이 주차를 넓게 해야하니 기둥식 구조(라멘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보의 세로 두께가 보통 40㎝ 안팎이라 갑갑한 느낌이 있으나 지하주차장은 주거 공간이 아니라 여태껏 큰 문제가 안 됐다.

2019년부터 차 없는 지상단지를 만들려면 지하 주차장 높이를 2.7m 이상으로 해야 허가가 났다. 그러나 이 방식은 공사비가 큰 폭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 과거 지하주차장 2.3m 높이 때보다 40㎝ 높아지는 것이지만 단지 전체 면적과 비슷한 지하주차장 땅을 더 파야하니 공사비가 크게 늘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공사비를 아끼기 위해 과거 기둥식 구조에서 무량판 구조로 바뀌었다. 이는 어느 한 시공사 만의 문제도 아니다. LH가 발주한 공사 현장에서 15곳도 시공사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철근을 빼먹은 사실이 발견됐다.
벽식구조나 기둥식(라멘)구조는 안전마진이 비교적 더 높다. 그러나 무량판 구조는 기둥과 기둥 근처 보강 구조가 하중을 견뎌야 한다. 이 안전성을 담보하는 첫번째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대형 참사가 발생한 삼풍백화점과 최근 인천 검단아파트 주차장이 대표적인 무량판 구조 설계다. ‘순살 아파트’ 붕괴사고는 무량판 구조의 공사기간·비용 단축 등 장점만 취하고 단점을 외면한 결과라는 비판이 나온다. /박기홍 땅집고 기자 hongg@chosun.com
▶ 성수기, 비수기 상관 없이 '풀부킹'…대박 스테이 비결 알고싶다면? ☞ 땅집고M
▶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