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3.05.21 07:30

[땅집고] “경의중앙선 시간표는 장식표 아닌가요? 배차도 길고 시간표도 안 맞아서 탈 때마다 후회합니다.” (경의중앙선으로 통근하는 직장인 A씨)
수도권 전철인 ‘경의중앙선’은 2014년 경의선과 중앙선을 하나의 노선으로 합하면서 탄생한 노선이다. 서울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경기도 파주시, 고양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 등 경기 북부권 5개 시·군을 지나는 중장거리 노선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경의중앙선 배차 간격이 길고, 시간표와 다르게 운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표적인 열차 지연 원인으로는 ‘노선 중첩’이 꼽힌다. 현재 경의중앙선 구간에는 전철뿐만 아니라 KTX, ITX, 화물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들이 통과한다. 이들 열차를 먼저 보낸다는 이유로 운행 도중에 운행이 중단되거나 지연돼 운행 시간이 들쭉날쭉한 것이다. 여기에 출퇴근 시간에 승객이 밀집하면서 승하차가 10초씩만 지연돼도 결과적으로는 10분 이상 늦어질 수 있다는 게 코레일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용산역~왕십리역 구간에서는 ITX-청춘열차, 화물열차, 경의중앙선 전동 일반열차가 같은 선로를 사용하다 보니 우선순위가 높은 열차를 먼저 보내줘야만 한다. 열차등급 순위표에 따르면 경의중앙선은 ‘보통’ 등급으로 분류하고, ITX-청춘은 ‘특급’으로 분류한다. 이에 따라 ITX 청춘열차가 일반 전동열차 앞에 있으면 길을 비켜줘야 한다. 가뜩이나 운행하는 열차도 적은 데 다른 열차에 양보하면서 가다 보니 배차 간격이 늘어지고 예정 시간보다 늦어지는 것이다.
승객들이 꾸준히 불편을 성토하고 있지만 경의중앙선 운행 여건이 개선되긴 어려울 전망이다. 코레일 측은 “열차를 증설할 수 있는 부지도 없고, 선로를 지을 비용도 만만치 않다”면서 “선로 포화상태로 인력 충원도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배민주 땅집고 기자 mjbae@chosun.com
▶중소형 빌딩의 자산가치 극대화를 위한 전략 ☞ 땅집고M
▶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 교통·상권·학군·시세 그리고, 아파트 주변 유해 업소까지 한번에 ☞부동산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