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3.04.07 11:36 | 수정 : 2023.04.07 11:46
[땅집고] “새마을금고에 여러 개 예금과 적금을 들었는데, 무슨 문제가 생겨도 5000만원까지 보호가 된다는게 사실인가요? 5000만원 이하라도 금고가 파산하면 되돌려받지 못하는 건 아닐까요? 금액이 작더라도 미리 적금을 깨서 다른 은행으로 돈을 옮겨야 할까요?”
최근 새마을금고에서 취급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금액이 급등하면서 자금 유동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전체 금고 중 유동성 비율이 100%를 밑도는 금고가 3분의 1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도 9.23%로 2019년 2%대에서 3년 만에 9%대까지 급등했다. 새마을금고 고객 사이에선 금융 불안감이 커지며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 ‘부동산 시장 큰손’ 새마을금고, 37%는 유동성 부실…연체 대출금도 5조원 육박
6일 새마을금고를 관리·감독하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유동성 100% 이하인 금고는 지난해 말 전국 480곳(37.1%)으로 나타났다. 총 3분의 1을 넘는 규모다. 유동성이 100% 이하면, 고객의 돈을 제 때 지급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세부적으로 보면 유동성 70~100%인 금고는 359곳으로 27.8%를 차지했다. 70% 미만인 금고도 121곳(9.3%)이었다. 유동성 100% 이상인 금고는 814곳으로 62.9%다.
또 행안부가 더불어민주당 오영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건설·부동산 기업 대출 잔액은 올해 1월 56조4000억원에 달했다. 2019년 말 27조2000억원에서 매년 약 10조씩 급증했다. 지난 3~4년간 부동산 호황기를 기회로 보고 건설업 및 부동산업 대출을 많이 늘렸기 때문이다. 연체대출 규모도 2019년 7000억원에서 올해 1월 5조2000억원으로, 연체율이 9%대에 육박했다. 이중 부동산 PF 관련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액은 지난 1월 기준 1111억원으로 전달(602억원)보다 84.6% 급증했다. 연체율은 0.71%로 한 달 새 1.8배 증가했다.
새마을금고 유동성 위기는 부동산PF 관련 대출이 부실해진 데 따른 영향이 크단 평가다. 최근 중소 건설업체 다인건설이 대구에 주거형 오피스텔 ‘다인로얄팰리스 동성로’를 분양하며 중도금 대출 1150억원을 일으켰다가 공사가 중단되고 부도 위기를 맞았는데, 이 사업 대주단으로 참여한 지역 새마을금고 12곳에 불똥이 튀었다. 자금 건전성을 우려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공사 중단이 지속되자 돈을 꿔준 지역 금고에 대출금의 55%를 대손충당금으로 쌓으라고 요구했고 중앙회와 지역금고 사이에서 법정공방이 이어졌다. 사실상 지역 새마을금고에서 1150억원어치 이상의 손해가 예상되자 일부 고객 사이에서 뱅크런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 뱅크런 우려할 정도 아니지만…“미분양·주택시장 침체 지속하면 위험”
새마을금고 거래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262만4000명 규모다. 업계에선 일반 예적금자의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새마을금고는 연일 보도자료를 통해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적극적인 해명에 나서고 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법에 의해 타금융기관과 동일하게 1인당 5000만원까지 예금자를 보호하고 있다”며 “2022년말 기준 2조 3858억원의 예금자보호기금과 고객의 예적금을 언제든지 지급할 수 있는 상환준비금도 12조원 가량 보유하고 있다, 이 기금이 부족할 경우 법에 따라 ‘국가로부터 차입’도 가능한 구조”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도 당장 PF연체율만 놓고보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란 설명이다. 다만 앞으로 새마을금고가 돈을 꿔 준 다른 사업장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부실 규모가 더 확대될 수 있다고 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지난 몇 년 간 저금리 국면이 지속했을 때, 새마을금고 등 금융 기관이 부동산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면서 부동산 시장 큰 손으로 불렸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면서 직격탄을 맞게된 것”이라며 “현재까지는 새마을금고 충당금을 통해 위기에 대응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현재 지방 등에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이 뇌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다른 사업장에서 부실이 발생하면 새마을금고뿐만 아닌 금융기관 전반에 연쇄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PF 대출이 부실화하지 않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리영 땅집고 기자 rykimhp206@chosun.com
▶ 돈 버는 건축 노하우, 건축주대학 ☞땅집고M
▶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 교통·상권·학군·시세 그리고, 아파트 주변 유해 업소까지 한번에 ☞부동산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