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3.02.16 17:30
[땅집고] 최근 부동산 시장의 뇌관은 매매시장이 아니라 전세시장이라는 말이 있다. KB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1월 말 기준으로 연간 아파트 전세가는 전국 -6.93%, 서울 -9.50%, 경기도 -11.01%, 인천 -10.48%를 기록했다. 특히 서울에서는 송파구가 -15.25%, 성북구가 -14.1%, 강남구가 -11.1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 낙폭이 매매가 -5.2%보다 2배 가까이 크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들이는 갭투자는 2021년 한해 43% 급증했다. 문재인 정부 때 전세 자금 대출을 확대한 정책도 갭투자 증가에 일조했는데 2021년에 전세 자금 대출 잔액은 170조에 달한다. 그 당시 젊은 층에서도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높거나 큰 차이가 없는 단지를 대상으로 돈 한 푼 들이지 않고 주택을 매입하는 ‘무갭투자’가 크게 유행했었다. 당시 전세계약이 만료되는 올해부터 2008년 외환위기 때 보다 더 위험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차학봉 조선일보 부동산 전문기자는 “무갭투자는 전세가나 매매가 둘 중에서 하나만 올라도 해결이 되겠지만, 지금은 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전셋값, 매매값이 동시에 폭락하는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오늘 땅집고TV 봉다방에서는 최근 부동산 시장의 전셋값 급락에 대하여 짚어봤다. /이해석 땅집고 기자 gotjr7@chosun.com
▶ 꼬마빌딩, 토지 매물은 ‘땅집고 옥션’으로 ☞이번달 땅집고 옥션 매물 확인
▶ 우리집 재산세·종부세·양도세 땅집고 앱에서 단번에 확인하기. ☞클릭!
▶ 국내 최고의 실전 건축 노하우, 빌딩 투자 강좌를 한번에 ☞땅집고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