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무섭게 추락하던 서울 아파트값, 3주째 내림세 주춤

    입력 : 2023.01.07 07:00

    [땅집고]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규제완화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1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4% 떨어졌다. 하지만 하락폭은 3주 연속 둔화되는 양상이다. 최근 4주 사이 주간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2022년 12월 둘째주 -0.12% ▲12월 셋째주 -0.09% ▲12월 넷째주 -0.07% 등이다. 이번 주엔 재건축이 0.08% 내렸고, 일반 아파트는 0.03% 하락했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4%, 0.05% 내렸다.

    전세시장은 겨울 비수기와 월세 시장으로의 수요 이탈 영향으로 서울이 이번주 0.07% 떨어졌고, 신도시가 0.07%, 경기·인천이 0.06% 하락했다. 다만 매매가격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하락폭은 다소 축소되는 움직임을 나타냈다.

    서울은 여전히 대부분 지역이 하락했지만 0.10% 이상 떨어진 곳은 지난 주 7곳에서 1곳으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관악(-0.16%) ▼강동(-0.09%) ▼송파(-0.09%) ▼강북(-0.08%) ▼광진(-0.08%) ▼동작(-0.06%) 등이 떨어졌다. 관악은 봉천동 성현동아, 일두, 관악푸르지오 등이 1000만~2000만원 빠졌다. 강동은 명일동 고덕현대, 신동아, 고덕동 배재현대 등이 2500만~5000만원 하락했다. 송파는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가락동 대림, 잠실동 우성1·2·3차 등이 1000만~2500만원 하락했다.

    [땅집고] 서울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부동산R114

    신도시는 ▼평촌(-0.12%) ▼일산(-0.10%) ▼산본(-0.08%) ▼중동(-0.07%) ▼분당(-0.05%) ▼판교(-0.01%) 등이 떨어졌다. 평촌은 평촌동 초원부영, 귀인마을현대홈타운, 호계동 무궁화한양 등이 500만~1500만원 하락했다. 일산은 주엽동 강선14단지두산, 문촌16단지뉴삼익 등이 1000만원 빠졌다. 산본은 산본동 가야5단지주공1차, 금정동 충무주공2-2단지 등이 500만~1500만원 떨어졌다.

    [땅집고] 신도시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부동산R114

    작년에 하락폭이 가장 컸던(지난 해 8월부터 12월 4째주까지 3.11% 하락) 인천은 약 5개월만에 보합(0.00%)으로 전환됐다. 다만 개별 지역별로는 여전히 하락하는 지역이 우세했다. 경기에선 ▼용인(-0.16%) ▼수원(-0.15%) ▼시흥(-0.15%) ▼의정부(-0.09%) ▼오산(-0.09%) ▼김포(-0.08%) ▼고양(-0.06%) 등에서 내렸다. 용인은 성복동 성복역롯데캐슬골드타운, 보라동 민속마을3단지현대모닝사이드, 영덕동 용인기흥효성해링턴플레이스 등이 250만~1500만원 떨어졌다.

    [땅집고] 경기·인천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부동산R114

    겨울 비수기와 월세시장으로의 수요 이탈로 전세가격도 하락했다. 서울이 0.07% 떨어졌고, 신도시 0.07%, 경기·인천 0.06% 하락했다. 전셋값 역시 하락폭은 축소됐다.

    정부가 거래 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해 서울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와 용산구를 제외한 전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면서 대출, 세금, 청약, 정비사업 등 시장을 옥죄던 규제들이 대부분 사라졌다. 이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보합세로 전환되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금번 규제지역 해제 영향으로 갈아타기 등의 1주택자 주거이전 수요 자극이 예상돼 아직 해소되지 못한 급매물을 중심으로 한 거래시장 정상화 효과가 예상된다"며 "조만간 특례보금자리론 도입과 거래세(취득세, 양도세) 중과 완화 조치 등이 맞물릴 예정이어서 주택 매수 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다만 시장 내 해소되지 못한 급매물이 상당수 누적된 상황이고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은행권 DSR 규제에 따른 가계의 유동성 축소 분위기가 여전하다. 윤 연구원은 "정부 정책의 온기가 소득과 자산 등에 한계가 있는 무주택 실수요층에 전달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필요할 전망"이라고 했다. /전현희 땅집고 기자 imhee@chosun.com

    ▶ 꼬마빌딩, 토지 매물은 ‘땅집고 옥션’으로 ☞이번달 땅집고 옥션 매물 확인

    ▶ 우리집 재산세·종부세·양도세 땅집고 앱에서 단번에 확인하기. ☞클릭!

    ▶ 국내 최고의 실전 건축 노하우, 빌딩 투자 강좌를 한번에 ☞땅집고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