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2.06.08 14:17 | 수정 : 2022.06.09 11:11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유럽의 저택이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주택] 3층 거실에서 불꽃놀이를 감상할 수 있는 ‘이와쿠라 하우스’(Iwakura House)
[세계의 주택] 3층 거실에서 불꽃놀이를 감상할 수 있는 ‘이와쿠라 하우스’(Iwakura House)

[땅집고] 일본 교토 사쿄구 한적한 주택가에 ‘이와쿠라 하우스’(Iwakura House)가 있다. 이 집은 기존 주택을 허물고 재건축한 집으로 주변 건물에 비해 높게 설계해 실내에서 외부 환경을 조망할 수 있다. 건축가는 실내 벽면을 흰색 페인트로 칠해 마감했으며 1층은 바닥을 콘크리트로 마감했다.
◆ 건축개요

건축사무소 : 알츠 디자인 오피스(ALTS DESIGN OFFICE)
위치 : 일본 교토
대지면적 : 126.17㎡
건축면적 : 45.54㎡
연면적 : 113.04㎡
준공 : 2021년 5월
대표건축가 : 스미오 미즈모토(Sumiou Mizumoto)
사진작가 : 아이티피 플래닝(I.T.P Planning)
◆ 건축가가 이 집을 지은 의도는…
기존에 있던 주택은 3층 주택으로 이 집이 1~2층의 저층 건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탁 트인 전망을 즐길 수 있었다. 건축가는 이전 주택의 특장점을 살려 새롭게 지은 주택도 3층으로 지었다. 건축주는 20대 여성으로 건축주 혼자 거주하는 집이다. 그래서 개인공간이 욕실과 침실 한개 뿐이다. 이 집의 또 다른 특징은 거실이 지상 3층에 있다는 점이다. 건축가는 재택근무를 하는 건축주를 염두에 두고 자주 사용하는 작업공간과 거실에서 바깥 환경을 조망할 수 있도록 일부러 3층에 거실을 배치했다.
■ 3층에 배치한 거실과 부엌
3층 거실에서는 건물 북측과 남측에 있는 산을 조망할 수 있다. 시야를 가리는 방해물이 없어 여름에는 불꽃놀이를 즐길 수도 있다.

거실을 기준으로 남쪽에는 건축주의 작업공간이 있으며 북쪽에는 주방이 있다. 창가에 업무공간을 마련해 건축가는 탁트인 조망을 보며 재택근무를 할 수 있다.

■ 1층 천장을 뚫어 만든 집
이 집은 2층 침실과 1층 욕실을 제외하고 따로 분할된 공간이 없다. 건축주 홀로 생활하는 만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 방을 최소화한 것이다.

건축주는 1층 천장을 2층까지 뚫었다. 추후에 결혼을 하거나 아이가 생겼을 경우 새로 방을 만들 수도 있다. 지금은 널찍한 1층 공간에 친구들을 초대해 파티 장소로 쓰거나 반려동물을 기르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