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12.03 13:59 | 수정 : 2019.12.03 14:09
[땅집고] GS건설은 허명수(64) 부회장이 후배들에게 길을 터 주기 위해 17년간 몸담았던 회사를 떠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GS건설에 따르면 허 부회장은 올해 정기 인사를 앞두고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산업구조가 급변하는 변혁기에 걸맞은 젊고 역동적인 인재들이 회사를 앞에서 이끌 때”라며 사의를 밝혔다. 허 부회장은 GS건설의 경영 일선에서 한발 뒤로 물러나 상임 고문으로서 조언자 역할을 할 예정이다.
GS건설에 따르면 허 부회장은 올해 정기 인사를 앞두고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산업구조가 급변하는 변혁기에 걸맞은 젊고 역동적인 인재들이 회사를 앞에서 이끌 때”라며 사의를 밝혔다. 허 부회장은 GS건설의 경영 일선에서 한발 뒤로 물러나 상임 고문으로서 조언자 역할을 할 예정이다.

허 부회장은 경복고와 고려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1981년 LG전자에 사원으로 입사해 20여년 간 근무했다. 2002년 당시 LG건설이었던 GS건설로 자리를 옮겨 재경본부장(CFO), 사업총괄사장(COO), 대표이사 사장 등을 역임했다. 오너 가(家)의 일원임에도 바닥부터 시작해 단 한 번의 특진 없이 최고경영자의 자리에 오른 인물로도 유명하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그 여파가 절정에 다다르던 2008년 12월에 GS건설 최고경영자(CEO)에 올랐다. 허 부회장은 최고경영자로 취임한 이후 내실경영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폐쇄적인 조직 문화를 개혁하며 체질 개선에 나섰다.
또 현금 유동성을 늘려 회사의 재무 안정성을 높였고, 원가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혁신 활동을 펼쳤다.
그는 건설업계에 불어닥친 위기를 극복하고 GS건설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과 2010년 연속으로 한국경영자협회에서 주최하는 '가장 존경받는 기업상'을 받았다.
허 부회장은 GS건설의 재도약기를 이끈 뒤 2013년 6월 지금의 부회장직으로 자리를 옮겼다. 해외 사업과 국내 주택사업에서 GS건설이 좋은 경영 실적을 내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허 부회장은 회사 실적이 일시적으로 악화하자 실적이 호전되기 전까지 급여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2014년 한 해 동안 무보수 책임경영을 실천하기도 했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그 여파가 절정에 다다르던 2008년 12월에 GS건설 최고경영자(CEO)에 올랐다. 허 부회장은 최고경영자로 취임한 이후 내실경영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폐쇄적인 조직 문화를 개혁하며 체질 개선에 나섰다.

또 현금 유동성을 늘려 회사의 재무 안정성을 높였고, 원가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혁신 활동을 펼쳤다.
이후 GS건설은 현금흐름이 대폭 개선되고 수주가 급증하는 등 구체적인 성과를 냈다.
그는 건설업계에 불어닥친 위기를 극복하고 GS건설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과 2010년 연속으로 한국경영자협회에서 주최하는 '가장 존경받는 기업상'을 받았다.
허 부회장은 GS건설의 재도약기를 이끈 뒤 2013년 6월 지금의 부회장직으로 자리를 옮겼다. 해외 사업과 국내 주택사업에서 GS건설이 좋은 경영 실적을 내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허 부회장은 회사 실적이 일시적으로 악화하자 실적이 호전되기 전까지 급여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2014년 한 해 동안 무보수 책임경영을 실천하기도 했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