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지난해 서울 호텔 거래시장이 약 2조원 규모를 기록하며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객실 가동률과 평균 단가가 2019년보다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고, 대규모 거래가 연이어 성사됐다.
13일 젠스타메이트가 발간한 2024년 호텔 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2024년 거래된 서울 소재 호텔은 14개 동으로 약 1조9662억원의 거래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4036억원) 대비 390% 증가한 수준으로, 2021~2022년 거래규모인 2조원에 근접한 수치다.
5성급 호텔의 대형 거래가 전체 거래규모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랜드하얏트 서울이 7300억원에 거래되며 2024년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콘래드 서울도 4150억원에 매각됐다. 성급별로는 5성급 1조 1450억원, 4성급 4324억원, 3성급 2213억원으로 집계됐다. 티마크그랜드호텔 명동(2282억원), 신라스테이 광화문 등 4성급 이하 호텔들도 활발히 거래됐다.
거래가격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0년부터 상승세를 보인 서울 호텔 평당 거래가격은 2024년 기준 2494만원을 기록했으며, 객실당 거래가격은 약 4억원으로 개발 목적 거래가 활발했던 2021년(객실당 4억5000만원)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호텔 거래시장이 이처럼 회복된 것은 호텔 운영실적이 뚜렷하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서울 객실 가동률은 전체 성급에서 코로나 이전인 2019년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2024년 11월 기준 5성급 75%, 4성급 81%, 3성급 86% 등 모든 성급에서 70%를 넘어서며, 코로나19 직후 40%대를 기록했던 2020~2021년과 비교해 크게 상승했다.
객실 평균 단가(ADR) 상승도 두드러졌다. 2024년 11월 기준 5성급 34만9000원, 4성급 19만3000원, 3성급 16만2000원으로 2019년 대비 각각 52%, 65%, 85% 상승했다. 특히 3성급 호텔의 평균 단가는 전년 대비 36% 상승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젠스타메이트 관계자는 “2024년 방한 외래관광객 수가 1637만명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하면서 운영실적이 개선됐다”며 “한강 치맥, 배달음식, 카페 투어 등 한국인의 일상을 체험하는 ‘데일리케이션’ 트렌드와 K-컬처에 대한 관심 확산으로 체류형·경험 중심의 여행 수요가 늘어나면서 호텔업계에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rykimhp206@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