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안 팔리는 부실 사업장…부동산PF 경공매 매물 두달 새 2배 폭증

뉴스 김리영 기자
입력 2025.04.15 10:53

[땅집고] 정부가 지방 등에 개발이 어려운 부실 사업지 정리에 나서고 있지만 올들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매물은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뿐만 아닌 서울에서도 경매 혹은 공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나와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15일 금융투자협회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금융권에서 매각을 추진 중인 부동산 PF 사업장은 올해 3월 31일 기준 384곳이다. 올해 1월 22일 기준 195곳에서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당신의 아파트 MBTI, 조선일보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금융권의 PF대출, 토지담보 대출, 채무보증 위험노출액도 올해 1월 3조1000억원에서 3월에는 6조3000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땅집고] 서울의 한 정비사업장. 본PF 전환에 실패해 부지가 통으로 공매에 넘어갈 위기에 놓였다. /강태민 기자
[땅집고] 서울의 한 정비사업장. 본PF 전환에 실패해 부지가 통으로 공매에 넘어갈 위기에 놓였다. /강태민 기자


지역별로 보면 지방에서 매각 중인 PF사업장은 1월 111곳에서 3월 237곳으로 2배 이상 급증했다.

☞AI가 매칭해 준 내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집은 어디?!

같은 기간 수도권은 84곳에서 147곳으로 75% 증가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에서만 17곳에서 30곳으로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서울에서 매각을 추진 중인 아파트와 주상복합, 다세대주택, 타운하우스 등 주거시설 PF사업장은 올 1월 10곳에서 3월 18곳으로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 사업장도 7곳 포함됐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부실 사업장 정리에 나서더라도, 이를 사들일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시공사가 많지 않아 당분간 매물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PF시장의 위기는 지속적으로 공사비가 상승하는 가운데, 그만큼 사업성이 나오지 않는 규제가 원인”이라며 “지방의 악성 미분양을 해소하기 위한 세제 완화 등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rykimhp206@chosun.com



화제의 뉴스

"입주 3년까지 하자보수" 삼성물산, 개포우성7차에 품질관리 시스템 도입
"갈아타기 딱 4번" 30억 아파트 입성한 30대 중반 부부의 전략
세종안성 고속道 붕괴 중간 발표…국토부, 현대ENG 영업정지 검토 중
울산 청량 상남화창지구 전세형 민간임대 '덕하 더원' 눈길
선도지구 고배 '분당 시범1', 통합재건축으로 2차 정비 지구 재도전

오늘의 땅집GO

앉아서 13억 벌 기회 왔다…'잠실 르엘' 9월 초 1순위 청약
"갈아타기 딱 4번" 30억 아파트 입성한 30대 중반 부부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