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문재인 정부 '망령' 이라더니…SH공사, 매입임대주택 7배 늘린 이유

뉴스 이승우 기자
입력 2025.04.01 10:25 수정 2025.04.01 11:24

[바뀌면 다 없애는 SH공사-下] 임대 물량 널뛰는 SH공사…사장 교체 때마다 ‘주거정책 롤러코스터’

[땅집고]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사장이 바뀔 때마다 중점 정책 방향을 크게 바꾸는 ‘전임자 지우기’에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민 주거 안정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매입임대주택 공급도 크게 흔들리고 있다.

관련기사 : '김헌동 지우기' 혈안 SH, 새 사장 취임 후 반값 아파트-골드타운 폐기

최근 업계에 따르면, SH공사는 3월 28일까지 매입임대주택 2917가구 매입 신청을 받았다. 사전 공고한 1000가구, 지난해에서 이월한 1206가구를 포함해 총 5123가구를 매입할 예정이다. 올해 공사의 예정 물량인 5350가구의 95%에 달하는 수치다.

[땅집고] 김헌동 전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SH공사


1990년 SH공사에 입사해 금융사업추진단장, 기획조정실장 등을 거친 황상하 사장이 임명된 후 목표치를 전년도에 비해 대폭 늘린 결과다. 이 역시 전임자인 김헌동 전 사장 흔적 지우기의 일환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임대주택 정책의 일관성에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 前 사장이 ‘문재인 정부의 망령’이라던 매입임대주택

시민운동가 출신인 김헌동 전 사장은 2021년 11월부터 3년간 공사를 이끌며 아파트 원가공개, 골드타운, 반값 아파트 등 실험적인 정책을 펼쳤다. 김헌동 전 사장은 매입임대정책을 ‘문재인 정부의 망령’이라 표현하며 주택 건설 사업에 중점을 두고 3기 신도시 개발사업 참여, 지방 골드시티 조성 등을 추진했다.

현재 흔적이 지워지고 있는 김헌동 전 사장도 SH공사 재임 당시 전임인 변창흠, 김세용 전 사장 시절에 시행한 매입약정형 매입임대주택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매입약정형 매입임대주택은 민간에서 빌라, 오피스텔 등을 짓고 SH공사가 사들이겠다고 약정한 뒤 준공 후 매입하는 방식이다.

김 전 사장은 2023년 땅집고와 인터뷰에서는 “SH공사는 도시를 개발하고 주택을 짓는 공기업이지 주택매입공사가 아니다”며 “문재징 정부 때 임대 주택을 늘리겠다며 빌라 매입 숫자 채우기 놀음이 시작됐는데, 정말 악습”이라고 발혔다. 건설 원가 대비 매입 금액이 너무 크다는 이유에서다.

[땅집고]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옥./SH공사


■ “사장에 따라 바뀌는 정책, 제도 보완해야”

김 전 사장 재임 시기(2021년 11월~2024년 11월)의 매입임대주택 실적은 이전과 비교해 크게 감소했다. 서울시의회가 시시한연구소에 의뢰한 ‘SH공사 공공성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공사의 매입임대주택 공급계획 달성률(목표치 대비 공급량)은 2020년 100%(6700가구/6700가구), 2021년 79.5%(4213가구/5300가구)를 기록했다. 김헌동 전 사장 시기인 2022년 16.5%(850가구/5150가구), 2023년 36.5%(1916가구/5250가구), 2024년 21.2%(712가구/3351가구)로 급감했다.

황 사장이 부임한 후 SH공사는 매입임대주택 물량을 대폭 늘렸다. 전담 부서를 신설하면서까지 핵심 사업으로 내세운 ‘미리 내 집’(장기전세주택Ⅱ) 공급 확대를 위해서다. 최근 매입 공고한 2917가구 중 1707가구는 추후 미리 내 집으로 전환할 수 있는 물량이다.

일부에서는 사장 교체 시기마다 매입임대주택 물량이 요동치는 것을 제도적으로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임대주택 정책의 경우 시장의 수요가 높지만, SH공사 사장이 바뀔 때마다 변동이 크다”며 “의사결정권자가 바뀔 때마다 제도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 의무를 다하지 않는 지방공기업에 패널티를 부여하는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raul1649@chosun.com



화제의 뉴스

한국부동산산업학회, '이승한 논문상' 신설해 매년 최우수 논문 선정
"토허제 효과 벌써 끝?" 송파 집값 상승세로 전환…재건축이 상승 주도
"부모 등골 빼먹는 아들, '이 계약서' 쓰면 재테크 잘하는 효자로"
3년 누적 손실 약 7조…HUG는 국민 세금 믿고 버티기중
내일 현대건설·GS건설 문 닫는다…"탄핵선고일 집에서 일하세요"

오늘의 땅집GO

"렌터카가 하루에 50만원?" 제주 렌터카 바가지가 부른 역풍
사상 첫 '래미안' 아파텔 등장…'건설업 큰형님' 삼성물산의 속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