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와, 내가 입사하고 싶다" 부영, 직원 28명에 1억씩 쾌척한 이유

뉴스 이승우 기자
입력 2025.02.05 17:04 수정 2025.02.05 17:13
/뉴시스


[땅집고] 부영그룹이 올해도 자녀를 출산한 직원들에게 출산장려금을 1억씩 지급했다. 또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국내 임대주택 비중을 30%까지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영그룹은 5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2025년 시무식을 열어 2024년 자녀를 출산한 직원 28명에게 출산장려금을 1억씩 지급했다. 누적 출산장려금은 총 98억원이 됐다.

부영그룹은 지난해 2월 시무식 때 2021~2023년 3년간 자녀를 출산한 직원 70명에게 각 1억원을 지급했다. 3년간 평균 28명이 태어났는데, 2024년에는 그보다 3명 늘어난 28명이 태어났다. 출산장려금 지급으로 사내 출산율이 늘어났다는 평가다.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AI가 찾아드립니다

다양한 직원들이 출산장려금 혜택을 봤다. 지난해 입사한 신입사원, 2년 연속으로 자녀를 출산한 직원, 5~7년 터울로 자녀를 낳은 경우도 있었다. 본사뿐 아니라 계열사 직원도 출산장려금을 받았다.

부영그룹은 합계출산율이 1.5명을 달성할 때까지 이 정책을 유지할 방침이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이날 “출산율이 종전 수준으로 따갈 수 있고, 국가가 이만하면 됐다고 할 때까지 유지할 작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0.74명으로 집계됐다.

☞당신의 아파트 MBTI, 조선일보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이어 이 회장은 "부영이 마중물이 돼 국채보상운동과 금 모으기 캠페인처럼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구낸 주택의 30%는 영구임대, 70%는 분양주택으로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공공의 임대 2~3%를 제외하면 분양대기 주택으로 사실상 임대 주택이 없다”며 “5년 후, 10년 후에 분양하는지 차이인데, 임차인과 임대인 사이 싸움만 난다”고 지적했다.

대한노인회장을 겸하고 있는 이 회장은 정년 연장을 통해 노인 문제 해소에 동참하겠다고 했다. 지난 10월 정부에 노인 연령을 65세에서 75세로 상향하자고 건의했다. 이 회장은 "회사에서는 어떤 형식으로든 유능한 사람은 쓸 생각"이라며 “2050년이 되면 노인이 2000만명인데, 감당이 되질 않는다. 1200만명 정도로 조절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raul1649@chosun.com



화제의 뉴스

"와, 내가 입사하고 싶다" 부영, 직원 28명에 1억씩 쾌척한 이유
비리 백화점 '우리은행'…서민 예금으로 부인은 뒷돈, 임원 무더기 비리 연루
원페를라 청약 광풍의 의미 "다시 찾아온 봄" vs "착각한 제비의 동사"
코람코자산운용, CJ올리브영 임차한 경산복합물류센터 본격 가동
"입주비만 수백만 원에도 적자 십상, 돈 버는 시니어타운은 따로 있다"

오늘의 땅집GO

"입주비만 수백만 원에도 적자 십상, 돈 버는 실버타운은 다르다"
10년간 등기 못 친 공덕 아파트"드디어 집문서 생긴다" 집값 꿈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