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비리 백화점 '우리은행'…서민 예금으로 부인은 뒷돈, 임원 무더기 비리 연루

뉴스 김리영 기자
입력 2025.02.05 15:53

서민은 대출 막더니…2334억 부당대출에 임직원 성과급 잔치

[땅집고] 국내 5대 시중은행 중 하나인 우리은행이 2334억원대 비리 의혹으로 얼룩졌다.

[땅집고] 지난 4일 금융감독원이 우리은행에서 2천억원대에 달하는 부당대출이 이뤄졌다는 내용의 정기겸사 결과를 공개했다. 금감원은 작년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사건과 관련해 이례적으로 정기검사 일정까지 앞당겨 자산 건전성과 내부통제 등 경영 실태 전반에 대해 고강도 검사를 벌여왔다. 사진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우리은행 ATM기기. /연합뉴스


우리은행의 경영진과 임직원은 국민이 피땀 흘려 맡겨둔 예·적금을 마치 자신의 호주머니 돈인양 펑펑 써댄 것으로 나타났다.

☞당신의 아파트 MBTI, 조선일보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최근 금융감독원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우리금융지주 손태승 전 회장 관련 부당대출 조사가 이뤄졌는데, 이번 조사에서 현 임종룡 회장 취임 후인 2023년 3월 후에도 추가적으로 451억원(회장 관련 부당대출 금액 총 730억원 중 61.8%) 규모 부당대출이 취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금융, 회장·임원들 앞장서 2300억원어치 ‘부당대출’ 실행

지난 4일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 등 주요 은행의 비리 내용을 담은 ‘2024년 금융지주·은행 주요 검사결과’를 발표했다. 금감원이 적발한 내용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부당대출 금액은 총 2334억원이다.

[땅집고]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관련 의심대출 대표 사례. /금융감독원


이중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이 730억원이었다. 나머지 금액은 모두 우리은행 고위 임직원들의 부당대출이었다.

☞아직도 발품파세요? AI가 찾아주는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손 전 회장 친인척의 대출의 경우 우리은행의 한 지역본부에서 주도적으로 관리해 42억7000만원(6건) 규모 부당대출을 진행했다. 장기 공실 상가 인수를 위한 잔금 대출 명목이었다. 이 과정에서 자금용도 심사, 상환능력 평가 등을 소홀히 하는 등 내규를 다수 위반했고, 지역본부 임직원들은 퇴직후 이 친인척과 관련된 기업에 재취업한 사실도 드러났다.

전체 부당대출 730억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338억원(46.3%)은 부실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임 회장 취임 이후 취급된 부당대출 451억원 가운데 부실화된 규모는 123억원(27.3%)이다.

[땅집고] 전현직 경영진의 부당대출 의심 사례. /금융감독원


회장뿐만 아니라 전현직 고위 임직원 27명(본부장 3명, 지점장 24명)도 부당 대출에 가담했다.

단기 성과 등을 위해 대출심사·사후관리를 소홀히 한 것이 문제가 됐다. 부당대출을 내주는 대가로 소위 뒷돈을 받은 정황도 나타났다. 우리은행 여신지원그룹 부행장은 대출 브로커를 부하직원이었던 우리은행 지점장에게 소개했고, 여신 17억8000만원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대출심사를 소홀히 했다. 이 과정에서 지점장은 아내의 계좌로 3800만원을 수수했다.

☞AI가 매칭해 준 내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집은 어디?!

이들은 부당대출 총 1604억원을 취급했고 이 중 987억원(61.5%)은 현 경영진 취임 이후 벌어졌다.

■ 서민 상대로 이자장사만 하더니…이복현 금감원장 “누군가는 책임져야”

[땅집고]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조선DB


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은 지난해 국내외 경기가 얼어붙은 침체 상황 속에서도 주택담보대출 등 금리를 올리면서 이자장사를 한다는 눈총을 받아왔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은행권 신규 가계대출 평균 가산금리에서 우리은행은 2.09% 올려 KB국민은행 1.45%, 신한은행 1.78%, 하나은행 1.48%, NH농협은행 1.52%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은행들의 연말 가산금리는 연중 최고 수준으로 기록됐다.

또 시중은행 대부분이 기본급의 200~280%의 성과급 잔치를 벌였으며, 이 가운데 우리은행은 2024년 결산이 끝난 후 성과급 규모를 결정하는데 노조 측은 역대 최대실적을 낸 만큼, 성과급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당대출이 이뤄지던 시기인 2022년 우리은행은 임직원에게 기본급의 300% 성과급을 지급했다.

금감원은 “기존에 적발된 350억원 중 대부분(84.6%)이 부실화된 점을 미뤄볼 때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되고 정상으로 분류된 328억원도 향후 부실화 가능성이 높다”며 “장기간 다수 부당대출이 취급되는 동안 금융지주 차원의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8월에도 불법대출 건과 관련해 “현 경영진이 책임을 져야 한다”며 임 회장을 압박하는 듯한 뉘앙스의 발언을 해왔다. /rykimhp206@chosun.com



화제의 뉴스

"와, 내가 입사하고 싶다" 부영, 직원 28명에 1억씩 쾌척한 이유
비리 백화점 '우리은행'…서민 예금으로 부인은 뒷돈, 임원 무더기 비리 연루
원페를라 청약 광풍의 의미 "다시 찾아온 봄" vs "착각한 제비의 동사"
코람코자산운용, CJ올리브영 임차한 경산복합물류센터 본격 가동
"입주비만 수백만 원에도 적자 십상, 돈 버는 시니어타운은 따로 있다"

오늘의 땅집GO

"입주비만 수백만 원에도 적자 십상, 돈 버는 실버타운은 다르다"
10년간 등기 못 친 공덕 아파트"드디어 집문서 생긴다" 집값 꿈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