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2년 연속 적자 유력 '한화건설', 김승모 사장 교체 여부 촉각

뉴스 김서경 기자
입력 2025.01.10 18:02

[건설사 기상도] 역대 최고 매출에도 영업이익 적자 위기 ‘한화 건설부문’

[땅집고] 한화 건설부문(과거 한화건설)이 경기 침체 및 건설 경기 둔화 역풍을 직격탄으로 맞았다.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도, 2년 연속 마이너스(-)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한화 건설부문은 2017년 이후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건설 경기 침체가 본격화한 지난해 적자 전환했다.

[땅집고] 한화 건설부문 실적 요약. /김서경 기자
[땅집고] 한화 건설부문 실적 요약. /김서경 기자


■ 역대 최대 매출 전망에도 불구, 적자

한화 건설부문이 2024년 6조원대 매출을 기록하고도, 마이너스 실적을 거둘 전망이다.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AI가 찾아드립니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화는 2024년 1~3분기 총 4조9568억원이라고 공시했다. 이는 2023년 매출액 5조3266억원의 93%수준이다. 그간 분기 당 1조원 이상 매출액을 올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2024년 총 매출액은 6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3분기의 경우 2분기 매출액(1조4억원) 2배 이상인 2조9024억원의 매출을 발생시켰으나, 영업이익이 -698억원에 불과했다. 2분기(-1012억원) 보다 적자폭을 줄였으나,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다.

이로 인해 업계에서는 한화 건설부문이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화 건설부문은 2023년 적자전환했다. 매출액 5조3266억원을 거두고도, 영업이익 -22억원, 당기순이익 -1222억원이라는 실적을 냈다. 2022년의 경우 매출이 4조3362억원이었지만, 2000억대 영업이익을 남겼다. 법인세 등을 제외한 당기순이익은 1074억원이었다.

한화 건설부문 측은 고물가·고금리를 이유로 들었다. 자재비·인건비 등 사업 원가비용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한화 건설부문 관계자는 “3분기의 경우 플랜트 사업 양도,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한화포레나 수원장안 등 개발사업의 공사 원가 상승에 따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전반적으로 준공예정원가 상승과 공사비 급등, 부동산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실적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 수장 안 바뀌는 이유 ‘조 단위 개발사업’, 실적 반등할까

이러한 마이너스 실적이 이어지면서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의 연임 가능성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주요 건설사가 재무통을 대표 자리에 앉히는 등 실속 챙기기에 나서는 만큼, 한화 건설부문 역시 비슷한 움직임을 취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대표는 2022년 9월 취임해 올해 3월 임기가 끝난다.

☞ 관련 기사 : 삼성, 롯데만 살아 남았다…실적 악화로 10대 건설사 CEO 8곳 교체

다만, 김 대표의 연임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김 대표가 추진해 온 복합개발사업 등은 하나 둘 착공하고 있다. 차례로 실적에 반영될 일만 남은 셈이다.

우선 가장 사업비 규모가 큰 서울역북부역세권 사업이 2024년 12월 착공했다. 첫 논의가 나온지 16년 만이다. 총 사업비 3조1000억원 중 한화 건설부문이 가져가는 도급액은 1조2000억 원 수준이다. 저이용 철도 용지(면적 약 3만㎡)에 강북권 최초 2000명 이상 수용할 수 있는 전시·국제회장을 갖춘 국제문화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2029년 준공 목표다.

☞ 관련 기사 : PF 2조 1050억원 서울역 북부역세권 내달 착공…호텔 컨벤션 주거 복합개발

강남구 수서동 1만5927㎡ 규모의 대지에 역사·판매·숙박·업무·문화 공간 등을 포함한 수서역 환승센터를 조성하는 수서역세권 복합개발사업도 올해 착공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1조2000억원 수준이다. 이와 함께 대전역세권 복합개발 사업도 올해 착공에 돌입한다.

이들은 해외에서는 이라크 비스마야 사업 공사를 재개했다. 2년 전 공사대금 미지급에 따라 계약을 해지했으나, 공사비 변경 계약 후 부분 공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 여의도 면적의 6배 크기의 이라크 ‘비스야마’에 10만80가구의 주택과 사회기반시설 등을 건설하는 것이다.

한화 건설부문 관계자는 “인스파이어 등 대형사업이 마무리되면서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했으나, 2024년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 본격적인 착공에 이어 올해 수서역 및 대전역, 내후년 잠실 MICE 등 대규모 전략사업의 원할한 추진을 통해 매출 및 영업익 증가가 예상된다”고 했다. /westseoul@chosun.com



화제의 뉴스

AI 경매 투자 전략, 무료로 배운다…24일 땅집고옥션 세미나
트랜스파머, 금융 규제 테스트베드 위탁 기업 선정...AI로 NPL 관리한다
"실패한 정책 데자뷔" 오세훈,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 연이틀 맹공
단기임대 운영 1위 블루그라운드, 공인중개사 사업설명회 10월 1일 개최
용인 고진역 대광로제비앙, 계약자에 계약금 5%·중도금 무이자 혜택

오늘의 땅집GO

"한 달째 27층 걸어 올라가" 입주 1년 만 침수 단지 된 인천 신축
한상드림아일랜드 개발 물거품…대성건설, 알짜 골프장만 챙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