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상가 대신 집 더 지어라"…서울시, 주거복합 상가 비율 확 낮춘다

뉴스 이지은 기자
입력 2025.01.05 15:20 수정 2025.01.05 16:04
[땅집고] 서울 강서구 화곡동 한 오피스텔 상가에 임대문의가 적힌 종의가 붙어있다./ /조선DB
[땅집고] 서울 강서구 화곡동 한 오피스텔 상가에 임대문의가 적힌 종의가 붙어있다./ /조선DB


[땅집고] 최근 빈 상가가 늘어나자, 서울시가 주거복합 건축물의 상가 비율을 대폭 줄여 주택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상업·준주거지역 내 주거복합건물의 비주거시설(상가) 비율을 폐지·축소하고, 환경영향평가 본안평가 면제 대상도 2배 수준으로 확대한다.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AI가 찾아드립니다

서울시는 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규제철폐안’ 1·2호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19일 오세훈 서울시장 주재로 비상경제회의를 열어 규제 철폐를 핵심 안건으로 논의한 뒤 내놓은 첫 개선안이다. 오 시장은 새해 신년사에서도 “규제 개혁을 넘어 규제 철폐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며 올해 본격적인 ‘규제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규제철폐안은 상업·준주거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주거 외 용도비율 완화, 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 등 2가지다. 1호 과제는 비주거시설 비율 완화다. 현재 서울 도심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비주거시설 비율은 도시계획조례상 연면적 20% 이상이다. 준주거지역은 지구단위계획 수립 지침에 따라 용적률의 10% 이상으로 정해져 있다.

☞당신의 아파트 MBTI, 조선일보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하지만 최근 대형 복합쇼핑몰과 온라인 쇼핑몰 이용 증가에 따라 상가 공실이 급격히 늘어나 제도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반면 도심 내 주택 수요는 늘고 있다. 시는 올 상반기 중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해 상업지역 내 주상복합 등 주거복합건축물의 상가 비율을 연면적 20%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일반ㆍ근린 상업지역에 임대주택이나 공공기숙사를 도입할 때에는 주상복합이 아닌 주택 100% 단일 공동주택도 허용한다.

조례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준주거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 비주거시설에 대한 용적률 규제는 이달 중 시 지구단위계획수립 기준을 개정해 즉시 폐지한다.

☞아직도 발품파세요? AI가 찾아주는 나에게 딱 맞는 아파트

이렇게 되면 줄어든 상가 면적만큼 주거ㆍ업무시설 공급을 늘릴 수 있어 개발 사업에 탄력이 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시는 1만㎡ 부지에서 준주거지역은 약 50가구, 상업지역은 약 100가구를 공동주택으로 더 지을 수 있다고 예상한다. /leejin0506@chosun.com



화제의 뉴스

[단독] 올림픽파크포레온 복도 벽 곳곳에 대형 크랙…주민들 "구조결함 아니냐" 불안
역대급 제안도 걷어찬 방배신삼호 재건축…HDC현산과 수의계약 부결
"'미쳤다' 소리들으며 대출받아 산 집이 30억"…잠실 아파트 소유자가 밝힌 뒷이야기
"이재명의 대출 규제 폭탄, 서울 아파트 버블 붕괴시킬까?"
폭염에는 '야간 골프'가 핫하네…저렴한 그린피로 갓성비, 얼마길래

오늘의 땅집GO

"이재명의 대출 규제 폭탄, 서울 아파트 버블 붕괴시킬까?"
폭염에는 '야간 골프'가 대세…갓성비 그린피, 얼마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