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대만, 반도체 특수로 집값 10% 폭등…글로벌 집값 강세장 전환

뉴스 차학봉 기자
입력 2024.07.15 10:48 수정 2024.07.16 09:58

[땅집고] 미국보다 한발 앞서 금리를 인하하는 나라들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 주택 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홍콩 등 경기 침체가 심한 나라들은 집값이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부동산 컨설팅회사인 나이트프랭크(KnightFrank)가 최근 발표한 1분기 글로벌 주택 가격 지수에 따르면 56개국의 평균 연간 가격 상승률이 3.6%에 달했다. 나이트프랭크는 “2022년 초부터 전세계적으로 급격히 상승한 이자율의 영향으로 침체기를 겪던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률은 여전히 20년 평균 상승률인 5.6%에는 미치지 못한다.

대만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TSMC/조선DB
대만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TSMC/조선DB


분기별 상승률은 1.3%로, 지난 두 분기보다는 증가했으나 장기 평균인 1.4%에는 약간 못 미친다. 56개 시장 중 82%가 연간 가격 상승을 기록했으며 이는 2022년 4분기 이후 가장 강한 수치다. 분기별로는 67%의 시장에서 가격 상승이 관찰됐으며 이 또한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국가별로 불가리아(16%), 폴란드(13%), 콜롬비아(12%), 대만(10.5%), 그리스(10.4%) 등이 연간 기준으로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들 나라들은 금리를 인하했거나 관광수요회복(그리스), 반도체 특수(대만) 등으로 경제가 성장세를 보이는 나라들이다. 이민 특수를 누리고 있는 호주는 지난 12개월 동안 7.5%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강한 반등을 보였다.

미국은 6.5%의 강한 상승률을 보였으며 지난 분기 동안 1.9% 상승했다. 낮은 실업률과 주택 재고 부족 등의 영향이다. 가격이 하락한 나라들의 공통점은 경기 침체가 원인이다. 프랑스(-5.2%)와 독일(-3.9%)은 경제 성장 둔화와 최근의 높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고 있다. 홍콩은 경제 성장 둔화로 인해 지난 12개월 동안 11.6%의 가격 하락을 기록했다. /차학봉 땅집고 기자 hbcha@chosun.com

▶ 월세 300만원인데 대기만 300명?! 초고령화 사회 한국, 시니어 주거 시설은 턱 없이 부족, 블루오션 시니어 주거 및 케어시설 개발 ☞ 땅집고M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화제의 뉴스

[알림] 땅집고와 함께할 인턴기자(채용 연계형)를 모집합니다
1000가구 아파트 단지 내 상가, 장사 잘 되는 '면적' 따로 있다
PF 사상 최대 사업도 멈췄다…포스코 악재에 '서리풀 개발' 착공 직후 올스톱
강남 '대치쌍용1차', 15층·630가구에서 49층·999가구로 재건축
6개월 공사중단 '콜드조인트' 탓인가…30억 '올파포' 하자 이유

오늘의 땅집GO

6개월 공사 중단의 후폭풍…30억 '올파포' 하자 속출한 이유
"재건축 꼴등 단지서 여의도 1등" 조합장이 밝힌 '연애편지'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