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벼랑 끝 건설업계…올해 폐업한 건설사 1500곳 돌파

뉴스 이지은 기자
입력 2024.06.18 08:48

 
 


[땅집고] 올해 들어 폐업 신청한 건설사가 1500곳을 돌파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공사비·인건비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방 건설사를 넘어 수도권 기업까지 폐업·부도 등 경영 위기에 내몰린 탓이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폐업 신고 공고(변경·정정·철회 포함)를 낸 종합건설사는 전국 240곳으로 집계됐다. 약 10년 전 부동산 불경기가 심각했던 2011년(1~5월·268건)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전문건설사까지 포함하면 올해 폐업하는 건설사가 더 불어난다. 지난달 말 기준 폐업 공고를 낸 전문건설사는 총 1301곳이다. 앞서 종합건설사 수치와 합하면 올해 전체 건설업체에서 나온 폐업신고 공고가 1541건인 셈이다.

건설사 줄폐업 현상은 지난해 지방부터 시작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수도권까지 폐업세가 확산하는 모양새다. 광주·전남지역 중견 건설업체인 남양건설이 기업회생절차를 마친지 8년 만인 올해 또 다시 법정관리를 신청했고,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99위였던 광주·전남 소재 한국건설 역시 법정관리를 절차를 밟게 됐다. 부산지역에선 중견인 남흥건설과 익수종합건설 등 2곳도 경영난으로 부도 처리됐다.

수도권에선 경기도에 본사를 둔 시공능력평가 193위 중견 건설사인 한동건설이 법원에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다만 금융권 이자 연체 등의 문제가 해소되면서 현재 회생 절차를 중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 인천시 영동건설(시공능력평가 176위)과 선원건설(126위), 새천년종합건설(105위) 등도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건설산업연구원 측은 올해 고금리가 이어지고, 하반기에도 부동산 PF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건설사마다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더불어 2022년부터 주거용/비주거용 건축공사 착공이 모두 감소한 터라 건설 투자가 쪼그라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건설 경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조세 완화와 미분양 해소 등 추가 대책을 지원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건설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공사비까지 급등하면서 당분간 신규 수주 확대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취득세나 양도세 등 조세를 완화하는 등 미분양 해소 대책을 병행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이지은 땅집고 기자 leejin0506@chosun.com

▶ 월세 300만원인데 대기만 300명?! 초고령화 사회 한국, 시니어 주거 시설은 턱 없이 부족, 블루오션 시니어 주거 및 케어시설 개발 ☞ 땅집고M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화제의 뉴스

현대건설, '통합재건축' 개포6·7단지 시공사로...35층, 2698가구로 변신
청춘의 핫플에서 '유령도시'로 전락한 수도권 최대 레저타운
햄버거, 아이스크림으로 돌파구 찾는 재벌 3세…한화 갤러리아의 신사업
8호선 판교 연장, 이번엔 될까?…성남시, 이르면 6월 예타 재신청
철산주공8·9단지 재건축, 30일 입주 앞두고 GS건설 '520억 증액' 갈등 봉합

오늘의 땅집GO

"공포의 역주행 사고, 한방에 무너졌다" '유령도시' 된 레저타운
강남은 압구정, 강북은 이곳…김동선 한화갤러리아의 부동산 쇼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