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금융당국, PF구조조정 앞두고 은행·보험권과 첫 실무회의

뉴스 김리영 기자
입력 2024.05.15 10:35

[땅집고]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한 지 하루 만에 은행·보험권과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 조성을 위한 첫 실무회의를 열었다. 내달부터 전국 5000여곳 PF 사업장에 대한 새 사업성 평가 기준이 시행될 예정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전날 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및 5대 보험사(삼성·한화생명, 메리츠·삼성·DB손해보험) 등과 신디케이트론 조성을 위한 첫 실무회의를 개최했다. 이를 시작으로 매주 회의를 연다는 계획이다.

[땅집고] 공사가 멈춘 지방의 아파트 건설현장. / 조선DB
[땅집고] 공사가 멈춘 지방의 아파트 건설현장. / 조선DB


금융회사 10곳이 조성하는 최대 5조원 규모 자금은 경·공매로 나오는 부실 사업장을 재구조화하는 데 쓰일 전망이다.

이 자리에서 한 회의 참석자는 “신디케이트론 1조원 중 은행권이 자금의 80%, 보험업권이 20%를 댈 것 같다”며 “정해진 건 아니지만 업권 내에서는 균등하게 나눠 내게 될 것”이라고 했다.

금융당국은 PF 부실 정리에 속도를 냄으로써 관련 불확실성을 줄이고 연착륙을 도모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회사들은 다음 달부터 금융당국이 제시한 새 PF 사업성 평가 기준(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유의’ 또는 ‘부실우려’ 등급을 받으면 해당 사업장은 경공매 절차에 돌입한다.

금감원은 다음 달 말부터 금융회사들이 분류해놓은 등급을 점검·평가한다는 계획이다.

최초 평가 대상 사업장 규모는 전체의 25~30% 수준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최초 평가 대상이 연체나 3회 이상 만기를 연장한 사업장이다 보니 ‘유의’나 ‘부실우려’ 등급을 받는 곳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당국은 다음 주 중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및 건설업계와 모여 합동점검회의도 연다는 계획이다. /김리영 땅집고 기자 rykimhp206@chosun.com



▶리모델링으로 50평에서 270평이 가능해? 자산 가치 UP, 수익률 2배 상승 건축주대학 ☞ 땅집고M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화제의 뉴스

강남 한복판 14년 방치된 2조 황금 땅…삼성역 6000평의 비극
커피 팔던 스타벅스의 파격 결정…"이젠 술도 판다고?" 매장만 10곳
321개 골프장 가진 세계 1위 골프장 기업, 청주 출신이 창업했다
손흥민 압구정2, 이승우 한남3…국대들의 역대급 부동산 투자 수익률
최저금리에 이주비 20억, HDC현산 용산정비창 역대급 조건 제시

오늘의 땅집GO

강남 한복판 14년 방치된 2조 황금 땅…삼성역 6000평의 비극
일본 1위 갑부는 재일교포…'세계 1위' 골프장 기업 만든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