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저축은행 79곳, 순손실 총 5500억원 돌파…금감원 4월 중 점검 나선다

뉴스 이지은 기자
입력 2024.03.31 10:54

/연합뉴스


[땅집고] 국내 저축은행 중 절반 이상이 지난해 순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심한 경우 순손실 규모가 1000억원을 돌파하고, 연체율이 20%를 넘어서기도 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30%를 넘겨 건전성이 우려되는 저축은행도 있었다.

이런 상황을 파악한 금융당국은 오는 4월 공개 예정인 올해 1분기 연체율을 확인한 뒤, 저축은행들의 연체채권 관리에 대한 현장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31일 연합뉴스가 국내 79개 저축은행 경영공시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의 절반 이상인 41곳이 순손실을 기록했다. 총 순손실 규모가 5559억원으로 2011년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 여파로 2013 회계연도(2013.7∼2014.6)에 5089억원의 적자를 낸 이후 9년 만에 최대치다.

저축은행별로 보면 A사의 순손실이 1072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6곳이 500억원 이상, 17곳이 100억원 이상 순손실을 냈다.

지주계열 저축은행들이 다른 계열사들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기반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의 손실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많이 쌓아둔 것이 순손실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주계열 저축은행들의 순손실 합계는 2717억원으로 전체의 규모의 절반 이상이다.

저축은행들의 건전성 지표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예를 들어 B저축은행의 연체율은 23.36%까지 치솟아 저축은행 사태 당시인 2011년 말 평균(20.3%)을 이미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연체율이 10%를 넘는 저축은행도 14곳이나 됐다.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25%를 넘어선 저축은행은 D사가 31.74%, E사가 28.28%, F사가 26.09%였다.

금융당국은 아직까지는 모든 저축은행이 자본 및 유동성 문제를 겪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 중이다. 다만 올해 들어서도 저축은행들의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졌을 것으로 내다보고, 오는 4월 중순쯤 올해 1분기 말 연체율이 나오면 현장점검에 나설 계획을 세웠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모든 저축은행이 자본 및 유동성에 문제가 없고,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도 금융당국의 기준치를 충족하는 상황"이라며 "각 저축은행이 연체채권 관리를 적절하게 했는지 점검할 예정이며, 바뀐 가이드라인에 따라 경·공매 등을 진행해 연체채권을 정리하고 있는지, 또 5월부터 사업자 연체채권 매각 채널도 확대되는데 이를 위한 준비를 잘하고 있는지가 중점 점검 사안"이라고 밝혔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 PF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표준규정에 ▲6개월 이상 연체채권에 대한 3개월 단위 경·공매 실시 ▲실질 담보가치·매각 가능성·직전 공매회차 최저 입찰 가격을 감안한 적정 공매가 산정 등 내용을 반영했다.

금융당국은 기존에 새출발기금으로 한정했던 저축은행의 개인사업자 연체채권 매각 채널을 과잉 추심이나 채무조정 기회 상실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부실채권(NPL)전문투자회사 등으로 확대했다. /이지은 땅집고 기자 leejin0506@chosun.com

▶ 리모델링으로 50평에서 270평이 가능해? 자산 가치 UP, 수익률 2배 상승 건축주대학 ☞ 땅집고M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화제의 뉴스

"16억 아파트를 8억에?" 사당동 '반값 줍줍' 나온다
'박현철 리더십' 롯데건설 매출 30% 성장…PF 위기 극복 '청신호'
액티브 시니어 세컨드홈 제격…부산 '더 타임 해운대' 오피스텔 분양
여행객 숙박난 시달리는 서울…세운지구 '호텔급 생숙' 들어선다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23일 공모…막판 동의율 확보 경쟁 치열

오늘의 땅집GO

[단독] 공급부족론 폈던 국토연구원, 집값 뛰자 주택 보고서 비공개
'박현철 리더십' 롯데건설 매출 30% 성장…PF 위기 극복 '청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