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집 살 때 아니야~"…서울 주택 매매심리지수 11달 만에 최저

뉴스 김서경 기자
입력 2024.01.15 15:51
[땅집고] 여의도 일대 재건축 단지 전경./강태민 기자


[땅집고] 서울에서 집을 사려는 수요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서울 주택매매 소비심리지수는 작년 1월 100아래로 떨어진 뒤 2월 반등해 7월 122.7까지 치솟았으나, 다시 100 아래로 떨어졌다.

[땅집고]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수도권 현황. /국토연구원


15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주택매매 소비심리지수는 99.6으로 전월보다 4.8포인트 하락했다.

이 지수는 작년 1월 93.8을 기록한 뒤 2월 105.2로 반등한 뒤 7개월 연 속 올라 9월 127.4까지 급등했다.

그러나 10월 116.0을 기록한 뒤 줄곧 하락했고, 12월엔 100아래로 내려앉았다.

국토연구원의 주택매매 소비심리지수는 95 미만이면 하강, 95∼115 미만이면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구분한다.

[땅집고] 주요지역별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국토연구원


이러한 하락세는 전국에서 나타나고 있다.

전국 주택매매 소비심리지수는 석 달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12월 100.1을 기록, 전월보다 1.8포인트 떨어졌다.

경기도 역시 서울보다는 높으나, 보합 수준이다. 경기의 주택매매 소비심리지수도 100.4로 전월보다 2.2포인트 내려왔다. 인천은 102.8로 1.3포인트 올랐다.

지방에서는 충북(102.4)의 주택매매 소비심리지수가 가장 큰 폭(-8.2포인트)으로 하락했다. 이어 경남(-7.2포인트), 세종(-5.3포인트) 순이었다.

반면 하강 국면이던 제주(89.8→101.4)와 대구(91.3→95.8) 지수는 소폭 올랐다.

전세 지수 역시 내림세를 면치 못했다. 전국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달 92.9로, 전월보다 1.9포인트 하락했다. 두 달 연속 하강 국면이다.

주택과 토지를 합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달 95.3으로 전월보다 1.8포인트 하락, 보합 국면을 유지했다.

비수도권의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94.8로 1.4포인트 내리며 지난해 3월(93.3) 이후 9개월 만에 하강 국면으로 돌아섰다. /김서경 땅집고 기자 westseoul@chosun.com


▶ 2050년엔 노인 인구가 40%? 초고령화로 실버 주거시설이 뜬다! 시니어 하우징 개발 ☞ 땅집고M
▶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화제의 뉴스

"지방도 역세권 빌라 돈 되네" 경매로 23평 낙찰, 넉 달만 반전 수익
'위례 땅' 2500억 날릴 뻔한 호반건설…LH, 3300억 혈세 구제 논란
"강남 집값 대신 강북 전세 잡는 6·27대책"…동대문도 월세 300만원
HDC현대산업개발 "송파 한양2차 글로벌 경관 조명기업과 협업"
"10명 제쳤다!" 국평 4.8억에 낙찰 환호…반년 만에 6천만원 날려

오늘의 땅집GO

'위례 땅' 2500억 날릴 뻔한 호반건설…LH, 3300억 혈세 구제 논란
"강남 집값 대신 강북 전세 잡는 대책"…동대문도 월세 3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