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경기 남양주시에 있는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가 이달 중 폐업하고 화도새마을금고에 인수합병 된다.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최근 남양주동부금고는 새마을금고중앙회 자체 감사에서 600억원 규모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스(PF) 대출 중 회수 불가능한 악성채권이 13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부실채권을 떠안는 대신 인수합병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최악의 사태는 막았지만, 금고 고객들 사이에선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기존 남양주동부금고의 회원은 2만4987명에 달한다.
지난 3월 대구에서는 한 중소 건설업체가 주거형 오피스텔을 분양하며 중도금 대출 1300억원을 일으켰다가 부도 위기를 맞았다. 이 사업 대주단으로 대구 지역 새마을금고 12곳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한국은행은 이 사태로 인해 대구지역 새마을금고의 자산 건전성이 악화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새마을금고의 재무 건전성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연체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대규모 자금이탈 사태도 발생하고 있다. 일반 고객 불안이 커지자 정부도 칼을 빼 들었다.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기관인 행정안전부는 전국 1290개 새마을금고 중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30곳을 특별점검하고, 부실이 심각한 곳에 대해 다른 금고와 통폐합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만간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 강화 방안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 정부도 칼 빼 들었다…“하반기 100개 지점 특별점검 나설 것”
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새마을금고는 두달여간 7조원 가까운 자금이탈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 4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은 258조2811억원으로, 지난 2월 말 265조2700억원에서 6조9889억원이 감소했다.
연체율도 급격하게 높아졌다. 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전체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3.59%에서 올해 1분기 5.34%로 상승했다. 2분기 연체율은 6.4%대로 잠정 집계됐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2.81%포인트 급등한 수치다.
지난달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작성한 2023년 1분기 새마을금고 경영지표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전체 새마을금고(1294개) 중 자체 경영실태평가에서 3등급 이하를 받은 곳은 202개(전체 15.6%)에 달했다. 3등급 이하는 구조조정 등 경영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대출 연체율이 단기간 두 배 이상 뛴 것은 자금 관리에 큰 구멍이 생겼다는 것”이라며 “더 큰 부실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당국의 감독이 시급해 보인다”고 했다.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기관인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30일 긴급 점검 회의를 열어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행안부는 하반기 중 연체율이 높은 100개 금고를 대상으로 특별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새마을금고중앙회도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부실 위험도가 높은 30여개 금고의 지점 폐쇄나 인수합병 등 구조조정까지 검토 중이다. 중앙회는 전국 본점 및 지점에 이자감면, 만기연장 등을 통해 연체율 관리에 적극 나서줄 것을 주문해 놓은 상태다. 각 금고는 현재 연체율 현황과 올 하반기 목표연체율 및 연체율 감축 방안 등을 제출키로 했다.
■ 중소건설업체들, “자금난 가까스로 틀어막고 버틴다”
정부가 새마을금고에 대한 대수술을 예고했지만, 여전히 시장에선 불안감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0일 금융회사의 연체율 상승 우려와 관련해, 과거 금융위기 사태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관리 가능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부실 업체들이 가까스로 자금난 위기를 버티고 있어 하반기 제2금융권 전체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진 한국부동산개발협회 정책연구원은 “상호금융권 등 제2금융권에 돈을 빌린 건설사는 1군 건설사보다는 시공능력순위 100위권 바깥 중소 업체 위주이며, 수도권보다는 지방, 아파트보다는 비아파트 위주 사업지에서 대출 연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일부 아파트를 중심으로 청약시장이 되살아나고 있지만, 아직도 지방은 미분양 문제가 심각하고, 금융기관의 대출 금리도 7~10%대로 높아 중소업체의 자금난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호황기 워낙 무분별하게 대출이 이뤄져 정부가 이제와서 대책을 세운다고 해도 위험을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정부 관리감독이 느슨했던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기 때문에 자정노력과 함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리영 땅집고 기자 rykimhp206@chosun.com
▶ 손대면 핫플로! 공실빌딩 살리기 임대차 전략 ☞ 땅집고M
▶ 독보적인 실전형 부동산 정보, 국내 1위 부동산 미디어 땅집고 앱에서 쉽게 보기 ☞클릭!
▶ 꼬마 빌딩, 토지 매물을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 ‘땅집고 옥션’ ☞이번달 옥션 매물 확인
▶ 교통·상권·학군·시세 그리고, 아파트 주변 유해 업소까지 한번에 ☞부동산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