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등록임대사업자도 '상생임대인 혜택' 받는다…2년 거주 의무 면제

뉴스 김리영 기자
입력 2022.06.23 08:38 수정 2022.06.23 10:08

[땅집고]정부가 전세금을 5% 이내로 올리는 ‘상생 임대인’에게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한 실거주 요건(2년)을 면제해 주기로 한 가운데 주택 등록임대사업자도 상생임대인의 혜택을 받게 된다.

등록임대사업자는 상생임대인 제도와 관계없이 임대의무기간 동안 임대료 증액이 5% 이내로 제한되는 등 공적 의무가 부여된다. 이를 어길 경우 임대등록 말소, 세제혜택 환수, 과태료 부과 등 불이익을 받는다.

[땅집고] 서울 아파트 모습. / 고운호 기자
[땅집고] 서울 아파트 모습. / 고운호 기자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3일 “상생임대인은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인상률이 5%로 제한된 경우에도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는데 등록임대사업자를 대상에서 제외할 경우 불형평의 소지가 있다”며 “등록임대사업자는 임대료 증액 제한 등 여러 공적 의무를 이행하는 만큼 요건을 충족하면 똑같이 이번 대책의 혜택을 주기로 했다”고 했다.

이에 따라 등록임대사업자가 작년 12월 20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를 기한으로 체결한 계약에서 임대료 증액을 5% 이내로 제한하면 등록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이 끝난 뒤 1주택 상태에서 임대등록을 했던 주택을 매도할 경우 2년 거주 없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임대인과 임대물건이 동일하면 임차인이 바뀌어도 직전 계약 대비 임대료 증액을 5%로 제한할 경우 비과세 요건의 2년 거주 의무를 면제하는 등 상생임대인 혜택의 범위를 폭넓게 해석하기로 했다.

[땅집고] 6.21 대책으로 바뀐 상생임대인 제도. / 조선DB
[땅집고] 6.21 대책으로 바뀐 상생임대인 제도. / 조선DB


다만 임대료 5% 제한 후 2년의 계약기간을 채우지 못한 경우에는 귀책 사유가 임차인에게 있더라도 집주인에게 상생임대인의 혜택을 주지 않는다. 애초 2년 계약을 맺었지만 임대인의 사정으로 1년 반만 살고 나간다면 임대인은 상생임대인 혜택을 못 받는다.

기재부 관계자는 “억울한 임대인이 나올 수 있지만 세제헤택을 노려 임대인·임차인이 짜고 하루, 이틀만 거주하고 임대계약을 해제하는 경우도 나올 수 있어 불가피하게 임대기간을 2년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갭투자자는 원칙적으로 상생임대인이 될 수 없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산 집주인은 기존 세입자의 전세 계약 만기 후 임대료를 5% 이내로 올려도 상생임대인 자격을 주지 않는다. 다만 이 집주인이 2024년 12월 31일 안에 두 번째 임대차 계약을 맺을 수 있다면 상생임대인이 될 수 있다. 가령 2022년 7월 만기 되는 전세를 안고 집을 산 A씨가 기존 세입자인 B씨와 전세 계약을 맺고서, 2년 뒤인 2024년 7월 새로운 세입자 C씨한테 전세금을 5% 이내로 올리면 상생임대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상생임대차 계약을 맺은 집과 최종적으로 매도하는 집이 일치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D·E·F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가 D주택에 대해 상생임대차 계약을 맺은 경우 E와 F를 처분해 1주택자가 된 경우에만 D주택에 대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준다는 뜻이다. /김리영 땅집고 기자 rykimhp206@chosun.com



▶재산세, 종부세 확 준다는데… 올해 우리 집 세금은 얼마나 줄어드나. ☞ 땅집고 앱에서 올해 우리 집 세금 30초만에 확인


화제의 뉴스

10.15 이전 규제지역 계약 체결 건, 조합원 지위양도 예외 허용한다
여의도 시범아파트 2493가구 단지로 재탄생…2029년 착공
분당 'THE시범' 선도지구, 특별정비계획 입안 제안...연내 구역 지정 유력
광양 푸르지오 센터파크, 입주자 호평 속 사전점검 마쳐
마곡 전셋값으로 내 집 마련…분상제 적용받는 김포 대단지 |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오늘의 땅집GO

88층 트윈타워서 '건축 한일전'…뒤처졌던 '1등 건설사'의 역전극
한 달 전만 해도 찬밥 신세였는데…40명 몰린 지방 '이 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