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LH 분양 아파트도 '로또'…5년간 시세차익 최대 6.8억

뉴스 이지은 기자
입력 2021.10.07 10:48 수정 2021.10.07 10:53


[땅집고] 최근 5년 동안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분양한 아파트에 청약 당첨된 수분양자들은 최대 6억8000만원 시세차익을 얻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LH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공공택지 내 LH 분양아파트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LH가 분양가를 인근 시세의 46~87% 금액으로 책정하면서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LH의 공공분양주택은 주거취약계층이 시세보다 저렴한 금액에 내 집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최초 수분양자에게 개발 이익이 집중되면서 ‘로또 분양’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예를 들어 지난해 공급한 경기 과천시 과천지식정보타운 S3블록 26평의 분양가가 5억7000만원 정도였는데, 인근 시세의 46%라 청약 당첨자들에게 시세차익 6억8000만원이 돌아갔다. 마찬가지로 과천지식정보타운 S7블록은 6억2000만원, 수서역세권 A3블록은 4억8000만원, 위례 A3-3a블록은 4억1000만원 등 차익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공공분양아파트의 경우 주택시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로 보금자리주택으로 공급한 서울 강남구 ‘세곡푸르지오’의 경우 2011년 1월 전용 8㎡2의 분양가가 3억4200만원이었지만 지난달 실거래가가 17억5000만원을 기록해 최초 분양가 대비 5배 이상 폭등했다. 개발이익의 사유화를 막는 방식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진성준 의원은 "부동산 매각차익을 공유하는 지분적립식 분양주택, LH에게 환매할 수 있도록 하는 환매조건부 분양주택, 건물만 분양하는 토지 임대부 주택 등을 통해 공공주택 보급을 전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지은 땅집고 기자 leejin0506@chosun.com

▶보유세 또 바뀌었다. 종부세 기준 11억으로 상향. 올해 전국 모든 아파트 세금 땅집고 앱에서 확인하기. ☞클릭! 땅집고 앱에서 우리집 세금 바로 확인하기!!

▶땅집고는 독자 목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개별 아파트와 지역, 재개발·재건축 조합 소식과 사업 진행 상황·호재·민원을 제보해 주시면 기사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기사 끝 기자 이메일로 제보.




화제의 뉴스

문래동과 성수동이 살아난 비결…인구 감소 시대, 생존 도시 매뉴얼
"사돈도 타워팰리스 살았으면" 원베일리 이어 강남 아파트 중매모임 확대
"이제 시공사 뽑자" 방배신삼호, 26일 사업 향방 가를 운명의 총회
자양4동 재개발 찾은 오세훈 시장 "규제철폐로 실질적 공급 속도 높이겠다"
갭투자 불가? "서울 외곽은 가능"…6·27 대출 규제 피한 3대 전략

오늘의 땅집GO

갭투자 불가? "서울 외곽은 가능"…6·27 대출 규제 피한 3대 전략
"사돈도 타워팰리스 살았으면" 강남권 단지서 중매 모임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