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전국 집값·전셋값 오름세 지속…상승폭은 둔화

뉴스 장귀용 기자
입력 2021.09.30 14:37 수정 2021.09.30 14:53


[땅집고] 추석 연휴와 금융권 대출 규제 속에서도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의 아파트 매매와 전세 상승세가 이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은 9월 넷째 주(27일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매매 가격이 0.34% 올랐다고 30일 밝혔다. 다만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던 이달 둘째주(0.4%)에 이어 2주 연속 상승폭은 다소 줄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추석 연휴가 이어진데다 은행권의 대출 한도 축소 및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본다”고 했다.

서울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주 0.20%에서 이번 주 0.19%로 줄었다. 서울은 지난주까지 8주 연속 0.2%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재건축 단지와 중저가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가격 상승이 이어졌다.

집값 상승세가 가장 뚜렷한 곳은 강서구로 지난주에 이어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인 0.28%를 기록했다. 이외에 용산구(0.26%), 강남·서초구(0.25%), 송파구(0.24%) 등 고가아파트 지역과 관악·구로구(0.22%), 동작·은평구(0.20%) 등 중저가 단지가 많은 곳들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집값 상승세가 가장 가파른 인천은 0.45%에서 0.43%로 상승폭이 살짝 꺾였고, 인천은 송도신도시가 있는 연수구(0.65%)와 계양구(0.49%), 부평구(0.45%), 서구(0.42%)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는 0.43%에서 0.40%로 3주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경기도 내 시군 중에는 오산시(0.67%)가 분당선 연장 등 교통 호재로 가장 많이 올랐다. 공공택지지구로 지정된 봉담읍과 동탄신도시가 있는 화성시(0.64%), 광역급행철도(GTX) 정차 호재가 있는 의왕시(0.59%) 등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방은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가 0.19%에서 0.16%로, 경기를 제외한 8개 도가 0.23%에서 0.17%로 상승폭이 줄었다. 세종은 -0.02%를 기록하면서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아파트값이 내렸다.

[땅집고] 매매가격지수,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땅집고] 매매가격지수,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전세 시장도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오름폭은 다소 줄었다. 수도권 전세 상승률은 전주 0.23%에서 0.21%로 축소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0.15%에서 0.14%, 경기가 0.27%에서 0.24%로 상승폭을 줄였고, 인천은 이와 반대로 0.24%에서 0.27%로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은 전세매물 부족현상 속에서 중저가 단지가 강세를 보였다. 마포·영등포·중구(0.19%)와 서대문·노원·동작·강동구(0.18%) 등의 상승세가 도드라졌다.

경기는 시흥시(0.50%), 양주시(0.50%)와 이천시·안산 단원구(0.47%) 등을 중심으로, 인천은 연수구(0.59%)와 미추홀구(0.35%)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5대 광역시는 0.12%에서 0.11%로, 8개 도는 0.13%에서 0.12%로 전주대비 전세 상승세가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손희문 땅집고 기자 shm91@chosun.com


▶ 그래서 세금이 도대체 얼마야? 2021년 전국 모든 아파트 재산세·종부세 땅집고 앱에서 공개. ☞클릭! 땅집고 앱에서 우리집 세금 바로 확인하기!!

▶땅집고는 독자 목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개별 아파트와 지역, 재개발·재건축 조합 소식과 사업 진행 상황·호재·민원 등을 제보해 주시면 기사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기사 끝 기자 이메일로 제보.



화제의 뉴스

"대출규제 실패하자 세금으로 집값 때려 잡나"…'한달 천하' 맛보기의 후속 대책은?
소방차 진입도 힘들던 응암동 다래마을, 35층·2900가구 대단지 아파트로 변신
'시세 12억원' 지방 고가 아파트도 비과세…세부담 기준 대폭 완화
33년 반지하 빌라 경매에 66명 몰린 이유 "저건 돈이야, 잡아라"
건설 참사의 숨은 배후는 국토부…"공사비 깎고 무리한 공사 강요"

오늘의 땅집GO

"애써서 설치한 현관문 가벽 갑자기 철거하라는데…해야하나요?"
건설 참사의 숨은 배후는 국토부…"공사비 깎고 무리한 공사 강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