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지붕부터 남다르네…청각장애인 자녀 위해 지은 아주 특별한 주택

뉴스 최지희 월간 건축문화 기자
입력 2021.09.14 04:15 수정 2021.09.14 07:14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건축] 2층 벽면을 지붕 아랫면으로 연장한 ‘엣지우드 하우스(Edgewood House)’

[땅집고] 2층 벽면을 지붕 아랫면으로 연장한 '엣지우드 하우스(Edgewood House)'./ⓒ BRUCE DAMONTE


[땅집고]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 2층 주택 ‘엣지우드 하우스(Edgewood House)’가 있다. 이 집은 대문과 외관을 주로 검정색으로 페인트칠한 철재로 마무리했다. 2층 실외 공간 벽면을 목재로 마감했는데 이 목재를 2층 지붕 아랫면까지 연장했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해 집의 이름을 ‘엣지 우드’라고 지었다.

◆건축 개요

[땅집고] 엣지우드 하우스(Edgewood House) 다이어그램. /ⓒTerry & Terry Architecture


건축사무소 : 테리 앤 테리 아키텍쳐(Terry & Terry Architecture)
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 팔로 알토
연면적 : 683㎡
건축면적 : 273㎡
준공 : 2020년
사진작가 : 브루스 다몬테(BRUCE DAMONTE)

◆건축가가 이 집을 지은 의도는…

엣지우드 하우스는 미국 모더니즘 건축의 아버지 조셉 아이클러(Joseph Eichler)가 1950년대 지은 집을 개조한 것이다. 건축가는 기존 집을 거의 건드리지 않고 새로 증축하는 공간 또한 기존 공간을 연장한 것처럼 설계했다. 이 집의 또 다른 특징은 어디서든 시야가 탁 트여 있다는 것이다. 건축가가 건축주 자녀가 청각장애인이라는 점을 고려해 눈으로만 보고도 공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 2층 벽면이 지붕 밑으로 올라가

이 집은 리모델링 주택이지만 기존에 있던 집의 특징을 크게 바꾸지 않았다. 1층 평면을 그대로 사용했고 외관 마감재도 기존에 사용했던 것을 썼다.

[땅집고] 검정색 페인트로 외관을 마감했다. /ⓒ BRUCE DAMONTE


다만 단층 주택이었던 집에 2층을 얹었다. 새로 생긴 2층 공간에는 침실 두 개를 배치했다.

[땅집고] 2층 침실. /ⓒ BRUCE DAMONTE


새로 얹은 지붕이 2층 발코니 위까지 확장돼 있는데 그 덕에 발코니에 그늘이 생겼다. 햇빛이 내리쬐는 시간대에 휴식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땅집고] 2층 벽면 마감재를 지붕 아랫면에도 사용해 마감했다. /ⓒ BRUCE DAMONTE


[땅집고] 발코니. /ⓒ BRUCE DAMONTE


■ 청각장애 자녀를 고려해 지은 집

건축가는 건축주 자녀의 귀가 들리지 않는 것을 고려해 청각 외 다른 감각에 자극만으로도 공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집을 설계했다. 이 때문에 시야에 막힘이 없도록 집을 지었다. 건물 전면에서 후면에 무엇이 있는지 보이고, 1층 실내(침실과 사무실)에서 야외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땅집고] 거실. /ⓒ BRUCE DAMONTE


[땅집고] 야외 정원. /ⓒ BRUCE DAMONTE


야외 정원에서는 실내 공간이 한눈에 들어온다.

[땅집고] 실외에서 한눈에 들어오는 내부. /ⓒ BRUCE DAMONTE



화제의 뉴스

이재명 시대 열리면…"'文 정부 시즌2', 똘똘한 한 채 부활할 것"
탄핵된 윤 전 대통령의 아크로비스타…붕괴사고 삼풍 자리, 최근 가격도 하락세
이창용 한은총재 "저소득층 대출이 국민 투기꾼 만들었다"
HDC현산-삼성 손잡고 용산 전면1구역에 '한국판 아자부다이힐스' 만든다
리츠가 실적 견인…코람코자산신탁 작년 영업익 '582억원' 흑자 전환

오늘의 땅집GO

이재명 시대 열리면…"'文 정부 시즌2', 똘똘한 한 채 부활할 것"
"자이 수건·도마도 판다" GS건설, 인터넷 쇼핑몰까지 진출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