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서울시의 첫 민자 경전철인 우이신설선이 극심한 적자로 파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는 우이신설선의 사업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우이동~정릉~신설동을 잇는 길이 11.4㎞의 경전철이다.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이 8900억원을 들여 2017년 개통했다.
28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송석준 의원(국민의힘)에게 제출한 우이신설선 경영현황 조사에서 우이신설선은 2017년 9월 개통한 이후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개통 첫해 102억원의 적자를 낸 데 이어 2018년엔 190억원, 2019년 152억원, 지난해에는 14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요금 수입이 영업비용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우이신설선이 적자에 허덕이는 이유는 무엇보다 수요가 예상보다 훨씬 떨어졌기 때문이다. 개통 초기부터 예상치의 60%에 못 미쳤던 수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까지 더해져 지난해에는 40%대로 급락했다. 30%에 달하는 무임승차비율도 주요 원인이다. 승객 10명 중 3명이 무료 손님이란 의미로 대부분 65세 이상 노인이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1~8호선의 무임승차비율은 평균 15% 수준이다.
또 환승할인에 따른 운임 손실도 적지 않다. 승객이 운영 기관이 다른 철도를 여러 번 갈아타면, 나중에 이용 구간 등을 따져서 해당 기관들이 운임을 나누게 된다. 환승할인이 많아질수록 각 기관이 얻는 수입은 줄어드는 구조다.
현재 상태에서 우이신설선이 파산하면 서울시가 당분간 운영 책임을 떠안은 뒤 새로운 사업자를 찾아야 한다. 제때 후속 사업자를 찾지 못할 경우 서울시가 위탁운영비까지 모두 책임져야 한다. 만약파산하면 협약에 따라 서울시가 해지시일시지급금 3500억원을 한 달 안에 내줘야만 한다. 문제는 지금 사업조건으로는 다른 민자사업자를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우이신설선의 사업방식을 확 바꾸는 사업 재구조화를 추진하고 있다. 수입이 실제 발생한 운영 비용에 못 미칠 경우 차액을 메워주는 '비용보전방식(CC, Cost Compensation)'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비용보전방식으로 바꾸게 되면 서울시로서는 없던 재정 부담이 새로 생기게 된다. 우이신설선 사업자인 포스코건설 측은 남은 차입금과 차량 교체비만 서울시가 지원해주면 나머지 운영 관련 비용은 모두 책임지겠다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결국 오 시장이 어떤 방안을 택하느냐에 따라 우이신설선의 운명과 재정 부담 여부가 갈리게 된다. 우이신설선은 오 시장 재임 시절인 2009년 착공했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다른 경전철 사업도 우이신설선처럼 애로를 겪을 가능성이 큰 만큼 이번 기회에 사업구조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 손희문 땅집고 기자 shm91@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