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진주를 품은 조개가 연상되는 리모델링 주택

뉴스 최지희 월간 건축문화 기자
입력 2021.06.22 04:09 수정 2021.06.22 07:22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주택] 리모델링 주택 ‘펄 하우스(Pearl House)’

[땅집고] 리모델링 주택 '펄 하우스(Pearl House)' /ⓒ Marco Cappelletti
[땅집고] 리모델링 주택 '펄 하우스(Pearl House)' /ⓒ Marco Cappelletti


[땅집고] 캐나다 몬트리올주 생로랑에 한국인 가정을 위한 주택 ‘펄 하우스(Pearl House)’가 있다. 이 집의 벽과 지붕은 단단하고 견고하게 지었는데 마치 진주를 품고 있는 조개 껍질을 연상시켜 집이름을 ‘펄 하우스’라고 지었다.

◆ 건축개요

[땅집고] '펄 하우스(Pear House)' 설계도. /ⓒMXMA Architecture & Design
[땅집고] '펄 하우스(Pear House)' 설계도. /ⓒMXMA Architecture & Design


건축가 : 엠엑스엠에이 아키텍처 앤 디자인(MXMA Architecture & Design)
위치 : 캐나다, 몬트리올, 생로랑
연면적 : 197m²
준공 : 2018년
대표건축가 : 맥심 모로(Maxime Moreau)
사진작가 : 애니 파파드(Annie Fafard), 맥심 모로(Maxime Moreau)

◆ 건축가가 이 집을 지은 의도는…

펄 하우스는 두 명의 자녀를 둔 한국인 가정을 위한 주택으로 1960년대 지어진 집을 리모델링 했다. 리모델링 과정에서 기존에 ‘l’자 형태였던 주택을 증축해 집이 ‘ㄱ’자 형태로 변했다. 그 덕에 가족들에게 개인적인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났다.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자연적 요소를 보존하고 이용한 것은 이 집의 특징이다.

■ 주택을 리모델링하면서 늘어난 개인공간

건축주는 자라나는 아이들과 생활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이 집을 리모델링했다. 증축하면서 늘어난 공간은 부부를 위한 침실로 쓰인다. 자녀들이 사용하는 침실은 기존 주택에 배치했다.

[땅집고] 건축주 부부의 침실. /ⓒ Marco Cappelletti


증축한 공간과 자녀들의 침실 사이에 욕실을 배치했다.

[땅집고] 욕실. /ⓒ Marco Cappelletti


자녀들의 침실 옆 공간부터는 가족들의 공용공간이다. 거실과 다이닝룸이 배치돼 있으며 거실 후면 뒷마당에서는 가족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땅집고] 뒷마당. /ⓒ Marco Cappelletti


■ 자연을 활용하고 보존한 집

건축가는 주택 부지에 자리잡고 있는 나무를 훼손되지 않은 채로 집을 계획했다. 때문에 중정 한가운데 단풍나무가 자리잡고 있다.

[땅집고] 중정의 단풍나무./ⓒ Marco Cappelletti


이 집은 유리창을 통으로 설치해 채광을 강화했다. 특히 건물 남쪽에 고성능 유리를 설치했는데 햇빛을 온전히 흡수할 수 있어 해가 떴을 때에는 자연광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땅집고] 집 남측 전면에 통창을 배치했다. /ⓒ Marco Cappelletti



화제의 뉴스

아파트 정보의 원조 '부동산114' ..적자 누적끝에 역사 속으로
"당선무효 조합장 업무복귀 하루만에 해임"..서울 첫 대규모 테라스하우스 정릉골 재개발 내분
"재초환도 없애주나?"…이재명, 재건축 분담금 완화 추진 공약
[단독] "이젠 강남도 추월한 성수동" 10년만에 10배 오른 '평당 3억' 거래
부산 가덕도신공항 무산 위기…우선협상 대상 현대건설 “공기 연장, 공사비 인상 필요”

오늘의 땅집GO

"임대 줄이려 끈질긴 줄다리기" 일반분양 180가구 늘린 목동5단지 위원장의 노력
대선주자 6인, 얼마짜리 집 살까?…무주택자부터 40억대 아파트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