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100년 넘은 집 리모델링해 만든 게스트하우스

뉴스 최지희 월간 건축문화 기자
입력 2021.02.23 04:41 수정 2021.02.23 10:56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주택] 산행 전 들르는 게스트하우스 ‘하우스 비하인드 더 월’(House behind the wall)

[땅집고] 산행 전 관광객이 자주 찾는 '하우스 비하인드 더 월'(House behind the wall). /ⓒBoysPlayNice
[땅집고] 산행 전 관광객이 자주 찾는 '하우스 비하인드 더 월'(House behind the wall). /ⓒBoysPlayNice


[땅집고] 한국인의 인기 해외관광지 중 한곳인 체코 프라하에 2동의 2층 주택 ‘하우스 비하인드 더 월’(House behind the wall)이 있다. 이 집은 프라하 관광지인 지제라(Jizera) 산맥 시작점인 도로 끝에 있다. 도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을 세우면서 집 이름을 ‘벽 뒤에 있는 집’이라고 붙였다. 콘크리트로 마감한 외부와는 달리 내부는 목재로 마감했다.

◆건축 개요

[땅집고] 하우스 비하인드 더 월 단면도. /ⓒMjolk architekti


건축가 : 묠크 아키텍티(Mjölk architekti)
위치 : 체코 프라하 리베레츠
건축면적 : 271.50㎡
연면적 : 226.10㎡
규모 ; 2층
준공 : 2018년
대표건축가 : 미칼 헤즐라(Michal Hejzlar)
사진작가 : 보이즈플레이나이스(BoysPlayNice)

◆건축가가 이 집을 지은 의도는…

하우스 비하인드 더 월은 지은지 100년 넘은 집을 리모델링했다. 건축주는 집을 증축하면서 원래 2층을 2동으로 분리했다. 한 동은 건축주 부부의 생활공간, 나머지 한 동은 게스트하우스로 각각 사용한다. 리모델링하면서 내부 마감재도 교체했다. 시멘트로 마감했던 내부를 목재로 바꿔 실내가 좀 더 따뜻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산행 전 손님 휴식처로 사용

게스트 하우스는 산행 전 관광객에게 잠시 머물다 갈 수 있는 휴식처로 사용된다.

[땅집고] 이 집은 도로 끝에 있다. /ⓒBoysPlayNice


1층과 2층 사이에 거실로 사용하는 중간층이 있는데 이곳은 건축주 부부와 손님이 함께 사용하며 소통할 수 있다.

[땅집고] 중간층 거실. 주인과 손님이 소통하는 공간이다. /ⓒBoysPlayNice


■ 게스트하우스에 적합하게 리모델링한 주택

이 집은 원래 지하 층이던 공간을 리모델링하면서 1층 공용공간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1층에는 다이닝룸과 거실이 이어져 있는데 거실에서 바로 야외로 드나들 수 있도록 통창으로 된 유리문을 설치했다.

[땅집고] 1층 다이닝 룸. 시원한 통창을 달았다. /ⓒBoysPlayNice


돌로 마감했던 1층 천장과 2층 바닥을 목재로 변경했다. 그래서 2층 침실, 거실, 사무실, 사우나를 낀 화장실은 목재로 내부를 마감했다.

[땅집고] 2층 게스트하우스 침실. 내부는 나무로 마감했다. /ⓒBoysPlayNice


[땅집고] 2층 게스트하우스룸 거실. /ⓒBoysPlayNice




화제의 뉴스

현대엔지니어링, 연이은 사고 여파에 사명 변경 추진...주택 수주 중단은 부인
흑석동 '국평' 30억 눈앞·신고가 속출..."토허제 '풍선효과', 강남권의 대안"
한달 만에 '4.5억 폭등' 진실은? 분당 시범삼성, 초역세권·재건축 호재도 아니다
호텔보다 30% 저렴…글로벌 레지던스 '블루그라운드' 5월 사업설명회 개최
"파주 시민 얼굴 표정 바꿔준 GTX..주택문제 해결의 답이 있다"

오늘의 땅집GO

"돈 없어서 폐업도 못해요" GTX 거품이 무너뜨린 '연신내' 상권
"文 부동산 정책 뒤집으면 차기정권 성공가도"부동산 달인의 직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