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참 희한하게 생겼네'…나뭇가지 모양 그대로 본딴 주택

뉴스 최지희 월간 건축문화 기자
입력 2021.01.13 04:18 수정 2021.01.13 07:59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주택] 나뭇가지 닮은 주택 ‘하우스인더포레스트(House in the Forest)’

[땅집고] 나뭇가지를 닮은 '하우스인더포레스트(House in the Forest)'. /ⓒFlorian Busch Architects
[땅집고] 나뭇가지를 닮은 '하우스인더포레스트(House in the Forest)'. /ⓒFlorian Busch Architects


일본 홋카이도에 단층 주택 ‘하우스인더포레스트(House in the Forest)’가 있다. 이 집은 외관이 나뭇가지 모양을 닮은 점이 특징이다. 실제로 키 큰 소나무가 우거진 숲속에 지어졌다. 나뭇가지 모양의 공간 사이사이에 나무가 있고, 건축가는 이 같은 외부 환경과의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외관을 목재로 마감했다.

◆건축 개요

[땅집고] '하우스인더포레스트' 설계도. /ⓒFlorian Busch Architects
[땅집고] '하우스인더포레스트' 설계도. /ⓒFlorian Busch Architects


건축사무소 : 플로리안 부쉬 아키텍츠(Florian Busch Architects)
위치 : 일본 홋카이도 란코시
연면적 : 230㎡
준공 : 2020년
대표건축가 : 플로리안 부쉬(Florian Busch)
사진작가 : 플로리안 부쉬 아키텍츠(Florian Busch Architects)

◆건축가가 이 집을 지은 의도는…

건축주는 집 안에서도 숲을 감상하고 싶었다. 그래서 건축가는 공간 곳곳에 통유리창을 배치했다. 하지만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하는 데도 신경썼다. 울창한 나무가 집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바깥에서 실내를 향한 시야를 차단한다.

■ 어디서든 숲을 볼 수 있어

숲으로 뻗어나온 듯한 가지모양의 공간에 침실, 손님맞이용 응접실에 모두 통창을 달았다.

[땅집고] 침실, 응접실 같은 공간에 통유리창을 달았다. /ⓒFlorian Busch Architects


손님이 없을 때 응접실은 건축주가 홀로 사색하는 공간이 된다. 건축주는 이 공간에 테이블과 의자 하나만 가져다 놓았는데 이는 통유리창이 있는 갤러리 카페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땅집고] 통창에 의자를 놓아 사색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됐다. /ⓒFlorian Busch Architects


■ 나무 덕에 시야 가려져

이 집은 대다수 공간에 통창이 있다. 하지만 건축주의 사생활은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바로 숲속 나무들이 건물을 둘러싸고 있어 내부를 들여다보기 어렵다.

[땅집고] 우거진 나무 때문에 외부 시야가 가려져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Florian Busch Architects


게다가 이 집의 유일한 통로는 북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작은 오솔길뿐이다. 인근에 다른 집들이 있지만 이 집을 볼 수 없을 만큼 거리가 떨어져 있다.

[땅집고] 하우스인더포레스트의 유일한 통로인 오솔길. /ⓒFlorian Busch Architects



화제의 뉴스

HDC현대산업개발, 용산정비창 사업 '600가구 한강조망' 설계 제안
"벽에 금칠 한 수준" 여의도 2배 '국회세종의사당' 건립비 '5.6조'
하늘궁으로 재산 480억 불어난 허경영, 대선 출마 안하는 이유가 '혹시'
기찻길 위에 공원이?…용산 철도 위 '공중 정원' 만든다
도로 없어 4년째 유령 아파트던 ‘힐스테이트 용인’, 드디어 길 뚫렸다…하반기 입주자 모집

오늘의 땅집GO

하늘궁으로 재산 480억 불어난 허경영, 대선 출마 안하는 이유가…
판교·마곡 다음 타자는…천지개벽 '고덕비즈밸리' 개발로 마침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