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주택가 한가운데 2층 집, 사생활 보호 고민 이렇게 해결

뉴스 최지희 월간 건축문화 기자
입력 2021.01.05 04:52 수정 2021.01.05 07:40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주택] 식물 덕분에 시원한 2층 타운하우스 ‘에이하우스(A-House)’

[땅집고] '에이하우스(A-House)'. /ⓒNguyen Cuong
[땅집고] '에이하우스(A-House)'. /ⓒNguyen Cuong


베트남 중부 꽝응아이에 2층 타운하우스 ‘에이하우스(A-House)’가 있다. 한국에서는 타운하우스가 고급 연립주택이나 단독주택 단지를 일컫는 말로 통용된다. 하지만, 본래 개념은 단독주택이 두 채 이상 연속적으로 붙어 지어져 벽을 공유하고 있는 집이다. 에이하우스는 갈색 벽돌과 흰색으로 외관를 마감했다. 건물 내부도 같은 재료를 사용해 마감했다. 창틀과 문틀도 벽돌과 같은 색 목재를 사용했다.

◆건축 개요

[땅집고] '에이하우스(A-House)' 설계도. /ⓒNguyen Cuong
[땅집고] '에이하우스(A-House)' 설계도. /ⓒNguyen Cuong


건축사무소 : 아이제트 아키텍츠(IZ Architects)
위치 : 베트남 꽝응아이
연면적 : 128㎡
준공 : 2020년
대표건축가 : 레 빙(Le Vinh), 응웬 끄엉(Nguyen Cuong)
사진작가 : 응웬 끄엉(Nguyen Cuong)

◆건축가가 이 집을 지은 의도는…

이 집은 주택가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건축주는 이 점을 고려해 사생활 보호에 초점을 맞춰 집을 지어달라고 요청했다. 또 다른 건축주 요구는 실내에 나무를 심는 것이었다. 실내 곳곳에 나무가 있는 덕분에 공기 순환이 잘 되고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었다.

■ 사생활 보호 위해 창은 중정(中庭) 방향

건축가는 주택가 사이에 집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집 바깥 쪽으로 향한 창을 거의 내지 않았다. 대신 집 안에 중정을 만들고 내부 공간을 향해 창을 냈다.

[땅집고] 실내를 향해 창을 냈다. /ⓒNguyen Cuong


벽을 흰색으로 칠해 중정쪽으로 들어온 빛이 반사돼 집안 전체로 퍼지도록 했다. 벽이 흰색인 덕분에 더운 공기가 잘 흡수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땅집고] 빛을 반사시켜 채광한다. /ⓒNguyen Cuong


[땅집고] 중정에 자연광이 비친다. /ⓒNguyen Cuong


■ 실내 온도 낮춰주는 식물

건축가는 실내에 심은 나무를 자연광이 들어오는 부분에 배치했다.

[땅집고] 중정에 자연광이 비친다. /ⓒNguyen Cuong


식물들이 방파제 역할을 해 실내 공기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땅집고] 식물들이 방파제 역할을 한다. /ⓒNguyen Cuong



화제의 뉴스

강남 한복판 14년 방치된 2조 황금 땅…삼성역 6000평의 비극
다이소에 밀린 스타벅스의 파격 결정…"이젠 술도 판다고?" 매장만 10곳
일본 1위 갑부는 재일교포였다…'세계 1위' 골프장 기업 만든 비밀
손흥민 압구정2, 이승우 한남3…국대들의 역대급 부동산 투자 수익률
최저금리에 이주비 20억, HDC현산 용산정비창 역대급 조건 제시

오늘의 땅집GO

[단독] '시세차익 25억' 로또 청약 뜬다…일반분양만 1800가구
33일 만에 2.4억 수익…파주 40평 빌라, '단타'로 돈 번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