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내년 서울 집값 떨어진다"는 공인중개사 한 명도 없었다

뉴스 전현희 기자
입력 2020.12.29 11:55 수정 2020.12.29 13:26

[땅집고] 부동산 공인중개사와 시장 전문가 대부분은 내년 집값이 소폭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는 이달 중 실시한 협력 공인중개사 506명, 부동산시장 전문가 161명 대상 설문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우선 공인중개사 10명 중 9명은 집값이 내년에도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오름폭은 1~3%가 될 것이라는 견해(수도권 30%, 비수도권 32%)가 가장 많았다. 0∼1%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올해 1~11월 주택매매가격 상승률(6.9%)을 고려하면 상승률이 다소 둔화할 것으로 본 셈이다.

[땅집고] 지역 공인중개사 설문. /KB금융그룹 제공


지역별로 집값 전망을 나눠보면 서울에서는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이 전혀 없었다. 3~5% 오를 것이라는 응답률이 31%로 가장 높았다.

또 서울을 나눴을 때 강남 지역의 경우 설문 참가자 약 80%가 5% 이하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서울의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본 이유로는 공급 물량 부족(28%)과 전세시장 불안에 따른 매매 전환 수요 증가(22%), 정부 규제 강화에 따른 매물 감소 등 부작용(19%), 금리 인하와 풍부한 유동성(16%) 등을 꼽았다.

올해 약 9.9% 오른 경기지역에 대해서는 내년에 5% 이상 오를 것이라는 전망은 21%에 그쳤다.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방의 경우 중개사의 30%가 5% 이상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상승률 2.3%를 웃도는 수치다.

[땅집고] 지역 공인중개사 설문. /KB금융그룹 제공


내년 주택 매매 거래량은 올해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늘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5개 광역시(57%)와 서울 중 강북 권역(54%)의 경우 매매 거래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했다.

전세보증금도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서울 지역 중개업소들은 5%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40%로 가장 컸다. 강북 지역 공인중개사 49%가 전셋 5% 이상 상승을 예상했다. 전세금이 상승할 것으로 보는 주요 이유로는 올해 8월 임대차법 도입 이후 전세 매물 감소를 지적했다.

주택시장의 안정 시기를 묻는 말에는 서울지역 응답자 55%가 2021∼2022년에 매매 시장이, 2023년 상반기에 전세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답했다.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 대다수도 내년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땅집고] 부동산 시장 전문가 설문. /KB금융그룹 제공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을 수도권은 5% 이상(39%), 비수도권은 1∼3%(39%)로 예상한 전문가들이 가장 많았다.

전국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57%로 가장 많았다. 증가 의견은 수도권 32%, 비수도권 27%로 나타났다.

전문가 대다수가 내년 수도권 전세보증금이 오를 것으로 예상한 가운데 '7%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3%로 가장 많았다. 수도권 전세보증금의 상승 요인으로는 임대차법 이후 전세 물량 감소(39%)를 지적했다.

한편 KB 소속 자산관리전문가(PB)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올해 고객의 부동산 관련 상담·자문 중 부동산 세무(45%)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2019년의 비중(35%)보다 10%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현실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현희 땅집고 기자 imhee@chosun.com

▶내년부터 세금 폭탄. 전국 모든 아파트 5년치 보유세 공개. ☞땅집고 앱에서 확인하기!!



화제의 뉴스

1기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공모 D-1...단지별 막판 스퍼트 '치열'
서울시 모아타운 공공관리 대상지 공모에 37곳 신청...11월 발표
[이주의 분양단지]성남 '해링턴스퀘어신흥역' 등 2819가구 공급
7억 빌라 한 채 가진 집주인, 앞으론 청약 때 '무주택자' 된다
'금수저' 미성년 유주택자 중 1500명은 다주택자

오늘의 땅집GO

쇼핑몰이 오피스로…신도림 디큐브·한양대 엔터식스 용도전환
"시니어 산업, 노인 아닌 '액티브 시니어' 겨냥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