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이태원 상가 3곳 중 1곳은 폐업…전국 상권 '코로나 직격탄'

뉴스 한상혁 기자
입력 2020.10.28 17:08 수정 2020.10.28 17:49


[땅집고]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세계음식문화거리 초입에 있는 수제맥주집 ‘칼리가리브루잉탭룸’ 건물 2~3층에 커다란 현수막이 내걸렸다. ‘임대문의’. 세계음식문화거리 근처 한 편의점에서 일하는 A씨는 “이태원에 지난 3~4개월 사이 공실로 변해버린 점포들이 수두룩하다”고 말했다.

[땅집고] 이태원 음식문화거리 건물에 임대문의를 알리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이 건물은 지난 5월 문을 닫기 전까지 가게가 영업했다. /네이버거리뷰, 김리영 기자
[땅집고] 이태원 음식문화거리 건물에 임대문의를 알리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이 건물은 지난 5월 문을 닫기 전까지 가게가 영업했다. /네이버거리뷰, 김리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상가 공실(空室)이 크게 늘고 임대료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용산 이태원 상권의 경우 소규모 상가 3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조사돼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3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상가 공실률은 중대형이 평균 12.4%, 소규모가 6.5%로 전 분기 대비 각각 0.3%포인트, 0.5%포인트 증가했다.

감정원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매출 하락과 폐업 증가로 상가 공실률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330㎡를 초과하는 중대형 상가의 경우 경북(18.6%), 세종(18.2%), 충북(17.6%) 등의 공실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고, 제주(6.7%), 서울(8.5%), 경기(9.0%) 등은 낮았다.

서울의 경우 강남대로(16.4%), 화곡(12.9%) 등의 상권에서 학원, 여행사 등의 공실이 늘어나며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8.5%를 나타냈다.

대구는 동성로 중심(16.2%) 및 동성로 외곽(17.7%) 상권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 등의 영향으로 16.2%의 공실률을 보였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전북(11.7%), 세종(10.3%), 경남(8.2%) 등이 전국 평균(6.5%)보다 높고 제주(1.7), 경기(4.2%), 부산(5.3%) 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서울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5.7%로 조사된 가운데 이태원(30.3%)과 명동(28.5%) 등은 상가 3곳 중 1곳 꼴로 폐업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감정원은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해 매출 타격이 큰 상권에서 폐업이 증가하며 공실률이 치솟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남은 양산(22.2%), 진주중앙시장(17.1%) 등 상권에서 원도심 공동화 영향과 신규 택지지구로 상권이 분산되면서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8.2%를 기록했다./한상혁 땅집고 기자 hsangh@chosun.com

화제의 뉴스

불 붙은 세종시 집값에 핵폭탄급 호재…이재명 "국회·대통령 집무실 임기내 건립"
"한남 5구역은 좋겠네"…DL이앤씨, 조합원 전원 한강뷰 설계 제안
대우건설, 용인 푸르지오 원클라스터 1단지 완판 이어 2·3단지 분양
우미건설이 대우컨소시엄 제끼고 구리갈매 실버스테이 우선협상대상자
분당 재건축서 불 붙은 '독립정산제' 논란이 뭐길래

오늘의 땅집GO

세종시 집값에 핵폭탄급 호재…李 "대통령 집무실 임기내 건립"
"카카오도 손 뗐다" 2030골퍼 떠나자…골프웨어 업계 중대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