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아파트 이어 오피스텔도 전세난…오피스텔 전월세 상승

뉴스 한상혁 기자
입력 2020.10.05 16:27 수정 2020.10.05 16:45


[땅집고] 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 여파로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확산되면서 오피스텔 전세금도 상승세다.

5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20년 3분기(7~9월)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기준 전국 오피스텔 전세금은 3개월 전 대비 0.27% 상승했다. 월별 상승률은 ▲7월 0.02% ▲8월 0.11% ▲9월 0.15%로, 지난 7월 말 ‘임대차 2법’ 시행 이후 상승 폭이 확대했다.

[땅집고] 3분기 전국 지역별 오피스텔 가격지수와 전세 매매 가격 비율 등./한국감정원

지역별 상승률을 보면 세종이 1.21%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경기(0.47%), 서울(0.33%), 울산(0.10%), 인천(0.06%) 등 순이다. 광주(-0.33%), 대전(-0.21%), 부산(-0.04%), 대구(-0.01%) 등은 하락했다.

오피스텔 월세도 오름세다. 전국 오피스텔 월세는 8월 0.03% 올라, 전월(-0.02%) 대비 상승 전환했다. 오피스텔 월세가 상승한 것은 2018년 3월(0.01%) 이후 2년5개월만이다. 이어 9월(0.06%)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전국 오피스텔 매매시장은 주택 시장 규제에 따르면 반사이익과 저금리 기조에도 불구하고 공급 과잉 등의 영향으로 0.06% 하락했다.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이 높은 세종(1.00%)이 급등세를 나타낸 가운데, 서울(0.12%), 경기(0.03%)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하락세다.

올해 9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4.74%를 기록했다. 대전이 6.90%로 가장 높고 광주(6.24%), 세종(5.39%), 부산(5.25%), 인천(5.12%), 대구(4.96%) 등 순이다. 서울은 4.33%로 조사돼 전분기(4.83%) 대비 소폭 감소했다.

한편 감정원은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해 공표하고 있다./한상혁 땅집고 기자 hsangh@chosun.com


화제의 뉴스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 지분 팔아 고금리 대출 상환…환헷지 비용도 절감
"글로벌 경쟁엔 독" 우물 안 개구리가 만든 토허제, 서울 집값 더 뛴다 [기고]
글로벌 레지던스 '블루그라운드' 강남 상륙…1호점은 아스티논현
열등생 '목동 13단지'도 49층 랜드마크 포부 "이미 신고가 속출"
마포 제낀 '국평 31억' 성수…토허제 여파 '마용성' 지각변동

오늘의 땅집GO

마포 제낀 '국평 31억' 성수…토허제 여파 '마용성' 지각변동
글로벌 레지던스 '블루그라운드' 강남 상륙…1호점은 아스티논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