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SH공사 "서울 22곳에 콤팩트시티로 1만6396가구 공급"

뉴스 이지은 기자
입력 2020.09.15 14:39 수정 2020.09.15 16:19
[땅집고] 콤팩트시티 물량 추정도. /SH
[땅집고] 콤팩트시티 물량 추정도. /SH


[땅집고]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콤팩트 시티(Compact city)’ 사업으로 총 22곳에 1만6395가구를 공급하는 안을 공개했다. 콤팩트 시티란 유휴부지 등 이용도가 낮은 토지에 공공주택과 생활시설을 집약 조성한 것으로, 서울시의 주택 공급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15일 국회에서 열린 ‘공공이 주도하는 공공주택 공급방안 마련’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콤팩트시티 추진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사업지 22곳에는 중랑·은평·강서 등 자동차 정류장 3곳(2160가구), 망원동·양평·반포·잠실·신천·탄천 등 유수지 6곳(7620가구), 고덕·신내·천왕 등 철도차량기지 3곳(4980가구), 기타 공공시설 10곳(1635가구)을 포함한다.

[땅집고] 신내 콤팩트시티 구상도. /SH
[땅집고] 신내 콤팩트시티 구상도. /SH


먼저 북부간선도로 위에 인공대지를 조성하는 ‘신내 콤팩트시티(7만4551㎡)’에는 990가구를 공급한다. 주택과 함께 도서관, 문화시설 등을 짓는다. 증산빗물펌프장 부지에 만드는 ‘증산 콤팩트시티(5502.3㎡)’는 불광천 수변공원과 연계한 예술종합센터 등 주민시설과 청년주택 166가구를 공급한다. 지난달 정부의 8·4 주택 공급 계획에서 제외됐던 잠실과 신천 유수지 등지도 이번 계획에 포함됐다.

[땅집고] 증산 컴팩트시티 구상도. /SH


변창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공공재개발 등 공공참여 정비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변 사장은 “공공재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지정하는 주택공급활성화지구에선 건축물 높이 제한이나 동간 거리 등 규제를 주거환경개선사업에 적용하는 수준으로 낮추고, 대규모 사업에는 예비타당성조사도 면제해줘야 한다”고 했다. 그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 전 진행된 사업지구도 활성화지구로 인정해 주는 경과규정을 신설하고, 활성화지구에서 공동사업시행 시 절차도 간소화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지은 땅집고 기자 leejin0506@chosun.com



화제의 뉴스

호실적 GS건설, 하반기 송파한양2차·성수1지구서 '자이 심판대' 오른다
오피스, 물류센터도 PF대출 보증 가능…비주택 개발 '자금난' 숨통
공사 재개 첫날부터…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사고로 근로자 의식불명
팝업 넘치던 'MZ 성지', 매출은 뚝…더현대서울, 개점 후 첫 역성장
"완전 황제 식사 서비스네!"…'부럽다' 소리 절로나오는 서초동 이 단지

오늘의 땅집GO

공사 재개 첫날,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사고로 근로자 의식불명
"황제 식사 서비스네!"…'부럽다' 소리 절로나오는 서초동 이 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