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경사 심한 산중턱, 버려진 좁은 땅에 우뚝 올라선 2층집

뉴스 최지희 월간 건축문화 기자
입력 2020.08.25 04:28 수정 2020.08.25 13:42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건축] 버려진 대지에 지은 2층 협소주택 ‘소우 하우스(SOU House)’

[땅집고]산 중턱 경사지에 지은 '소우 하우스(SOU House)' /ⓒ atelier thu
[땅집고]산 중턱 경사지에 지은 '소우 하우스(SOU House)' /ⓒ atelier thu


경사진 산 중턱에 2층 협소주택 ‘소우 하우스(SOU House)’가 있다. 사실상 버려진 대지였던 이 곳에 집을 짓는 것은 도전이었다. 건축가는 집을 짓기 위한 대지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1층 일부는 경사지를 깎아 그 안에 파묻었다. 주변 환경과 조화를 고려해 이 집의 외관과 내부 인테리어는 주로 목재로 마감했다.

◆ 건축개요

[땅집고]'소우 하우스(SOU House)' 단면도./ ⓒatelier thu
[땅집고]'소우 하우스(SOU House)' 단면도./ ⓒatelier thu


건축사무소 : 아뜰리에 수(atelier thu)
대표건축가 : 아수카 츠보이, 타카히로 호소가이, 사토시 우에다(Asuka Tsuboi, Takahiro Hosogai, Satoshi Ueda)
위치 : 일본, 나라, 이코마
연면적 : 112.61㎡
준공 : 2020년 4월
사진작가 : 아뜰리에 수(atelier thu)

◆ 이 집을 지은 건축가의 의도는…

건축가는 대지가 좁고 경사진 점을 감안해 이 집을 지었다. 경사지를 깎아 집의 한쪽 면으로 삼고 침실을 배치해 안락한 공간으로 만들었다. 산 중턱에 있다는 점을 활용해 2층 창밖으로 울창한 나무를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땅집고]툇마루에서 마을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 atelier thu


■ 파묻힌 경사지에 만든 안락한 보금자리

건축주는 침실을 2층 다락방에 만들어 안락한 느낌을 강조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면적이 좁아 2층에는 서재를 배치할 수밖에 없었다. 서재 양옆에 창을 크게 낸 덕에 실내에서도 녹음을 감상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땅집고]2층에는 서재로 사용하는 공간을 배치했다. /ⓒ atelier thu


대신 2층 다락방 서재에서 1층 거실로 내려오는 계단에 걸터 앉을 수 있도록 설계해 집밖의 자연을 감상하기 용이하다.

[땅집고] 1층과 2층 사이 계단에서 집밖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atelier thu


■ 경사지 방향을 활용해 지은 집

경사지 방향은 남쪽이다. 그래서 가족들이 함께 사용하는 거실, 다이닝 룸 같은 공용공간은 밝고 개방적인 방향으로 배치했다.

[땅집고] 1층에 공용공간인 거실이 있다. /ⓒ atelier thu


[땅집고]1층에 공용공간인 다이닝 룸이 있다. /ⓒ atelier thu


반쯤 묻힌 1층 북쪽에는 침실을 배치해 암막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했다.

[땅집고] 1층 경사지 안쪽에 해당하는 북쪽 방향으로 침실을 배치했다. /ⓒ atelier thu




화제의 뉴스

SK에코플랜트, 자회사 4곳 편입…'반도체' 포트폴리오 강화
DL건설, 5년 연속으로 한국기업평가 신용등급 'A-' 유지
분당 재건축 엎어지나?…"우린 선도지구 빼줘" '이재명 아파트' 반발
'재건축 1등' 목동 6단지, 추진위 건너뛰고 조합 설립…상가문제도 해결
삼성으로 시공사 교체했다 날벼락…손배 130억 물고, 공사비 3600억 증액

오늘의 땅집GO

삼성으로 시공사 교체했다 날벼락…손배 130억 물고, 공사비 증액
분당 재건축 엎어지나?…"선도지구 빼줘" '이재명 아파트'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