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90년간 깨지지 않는 미국 초고층 빌딩의 경이적인 기록

뉴스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
입력 2020.08.02 04:10 수정 2020.08.06 15:17

땅집고가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책은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이 펴낸 '프리콘(Precon): 시작부터 완벽에 다가서는 일(엠아이디)'입니다.

[땅집고 북스] 90년 동안 깨지지 않은 경이적인 기록

미국 뉴욕의 심장으로 불리는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 /조선DB


1930년 4월 7일 첫 번째 철골 기둥이 세워지면서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5만7000여 톤의 철골 구조물은 불과 6개월 만에 86층까지 올라갔다. 이 빌딩은 102층이지만 실제 거주 층은 86층까지다. 이로써 대부분의 철골 공사가 완료된 것이다.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서 있는 20층 내외 고층 빌딩에 들어가는 철골 구조물이 2000~3000톤이니 5만7000톤이면 이런 건물을 20~30개 건설할 수 있는 물량이다. 얼마나 엄청난 규모인지 대략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1930년대초 뉴욕에서는 초고층 건설 붐이 일어났다. 도시의 마천루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점점 높아져가고 있었다.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은 건립 과정에서 비슷한 시기 지어진 크라이슬러 빌딩과 흥미로운 눈치 작전을 펼쳤다. 뉴욕의 자산가였던 월터 크라이슬러와 제너럴모터스(GM)의 존 래스콥은 과연 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을 지을 것인가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당초 이 빌딩의 건설 계획안을 보면 높이가 1050피트(315m)로, 크라이슬러 빌딩 1048피트(314.4m)보다 고작 2피트(60cm) 정도 높았다. 하지만 실제 완공된 크라이슬러 빌딩은 1130피트(339m)로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의 계획안보다 80피트(24m) 정도 높았다. 크라이슬러 측이 고층 경쟁에서 이기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비밀리에 높이 56m짜리 첨탑을 조립해 뒀다가 완공 바로 직전에 올린 것이다. 그러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발주자인 존 래스콥도 여기에 굴하지 않았다. 크라이슬러 빌딩이 애초 계획보다 높아질 것을 미리 예상해 첨탑을 높여 1250피트(381.6m)로 완성했다. 그렇게 두 빌딩의 건축주는 머리를 써가면서 마지막 순간까지 치열한 높이 경쟁을 벌였다.

이 싸움에서 결국 최후의 승리를 거머쥔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은 1973년 세계무역센터가 건립되기 전까지 세계 최고 높이의 빌딩 자리를 42년 동안 유지할 수 있었다.

뉴욕 맨해튼 전경. /조선DB


처음 이 빌딩 건설 아이디어를 낸 사람은 제너럴모터스를 이끌던 존 래스콥이었다. 그는 동료인 피에르 뒤퐁과 함께 이 사업의 주요 투자자가 됐다. 이 사업에 인허가를 내준 사람은 전 뉴욕 주지사이자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앨프리드 E. 스미스로, 그 후 엠파이어스테이트 법인 대표로 대외관계를 총괄했다.

설계는 슈리브, 램, 하먼이 속한 뉴욕의 설계 회사(Shreve, Lamb and Harmon Associates)가 맡았다. 이들은 유명 시공업체인 스타렛 브라더스&에켄(Starrett Brothers and Eken)사와 긴밀히 협력했다. 설계사와 시공사인 이들은 환상의 호흡을 자랑하며 1930년 3월 17일 착공부터 1931년 5월 1일 준공식까지 불과 13.5개월 만에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라는 '명작'을 만들어 현대 건축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완수한 팀이 되었다.

당시에는 현재 우리가 건설 현장에서 항상 보게 되는 타워크레인이 없어 상대적으로 장비 효율이 떨어지는 기중기를 사용해야 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펌프카도 없었다. 인력과 자재를 운반하는 가설 엘리베이터로 콘크리트를 고층까지 운반하고 인력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했다.

공기를 단축하려면 일반적으로 사람과 장비가 추가 투입돼 돌관공사비라는 추가 경비를 요구하는 것이 업계 관행이다. 그러나 이 공사에서는 시공 이전 단계인 프리콘 활동과 체계적인 원가 관리를 통해 오히려 공사비 200만 달러(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약 1억2000만 달러)를 절감해 최종적으로는 2500만 달러에 공사를 마무리했다. 9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 같은 경이적인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다.



화제의 뉴스

"2000억원 토지 누락하고 방치"...압구정 3구역 조합장 해임추진 총회 연다
"얼죽신 가고 구축시대 온다" 2006년 입주 도곡렉슬 '평당 1억' 돌파...국평 34.5억 신고가 경신
"쌍령지구 민간임대는 사기분양"…토지주 130명 "사업 즉각 중단해라"
거실창 '옆집뷰' 리스크에 고분양가 논란까지ㅣ전주 마루힐 센트럴
송도 자이더스타에 흑백요리사 '만찢남' 셰프 등장한 이유?

오늘의 땅집GO

"3000만원 내면 임대아파트 준다?"…사기논란 휩싸인 쌍령지구
28년 방치한 김해 병원부지 아파트로 돌연 용도변경,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