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3기신도시 역세권에 '이재명표 임대주택' 짓는다

뉴스 한상혁 기자
입력 2020.07.21 13:48 수정 2020.07.21 15:40


[땅집고] 경기도가 수도권 3기 신도시 역세권에 무주택자들이 장기 거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을 건설해 공급한다. 소득·자산· 나이 등 입주자격을 따지는 기존 임대주택과 달리, 무주택자면 누구나 30년 이상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공공임대주택이다.

경기도 산하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21일 이런 내용의 보편적 주거 서비스로 '경기도형 기본주택 정책'을 발표했다.

GH가 국내 최초로 추진하는 기본주택은 무주택자면 누구나 입주할 수 있다. 월 임대료는 임대주택단지 관리·운영비를 충당하는 수준으로 책정하되 기준 중위소득의 20%를 상한으로 검토 중이다. 임대보증금은 월 임대료의 50배(1~2인)~100배(3인 이상)로 공공사업자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책정할 방침이다.

도와 GH는 하남 교산, 과천, 안산 장상 등 3기 신도시와 용인 플랫폼시티 등 GH가 추진하는 대규모 개발사업 부지 내 역세권을 중심으로 지역 내 주택공급 물량의 50% 이상을 기본주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와 협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경기도는 소득에 상관없이 무주택자나 장애인, 1인 가구, 고령자 등이 주변 시세의 80% 수준의 임대료만 내고도 살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임대주택인 '토지임대부 협동조합형 사회주택' 공급계획도 함께 발표했다.

사회주택 시범사업은 사회적 경제주체가 사업 희망 토지를 제안하면 도가 매입해 30년 이상 저가 임대하는 토지임대부 방식으로 추진한다. 주택의 60% 이하는 무주택자에게 일반공급하고 저소득층, 장애인, 1인 가구, 고령자 등 다양한 정책 대상에게 40% 이상을 특별공급할 방침이다.

1차 시범사업은 최소 단위 약 50세대로, 오는 10월 민간제안 사업추진 방식의 공모를 진행할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1곳당 120억원으로 추산되며, 이 중 절반이 공공 영역에서 지원될 전망이다./한상혁 땅집고 기자

화제의 뉴스

부작용 쏟아지는데…'6.27 대출규제' 설계자를 금융위 부위원장으로 발탁
오세훈이 뿌린 '공급 씨앗' 신통기획·모아타운, 대시민 특강이 거름될까?
단 1명의 민원에 10년 자리 지킨 ATM 철거..주변 6000가구 아파트 주민 불편 호소
"손해는 시민혈세로 메꾼다" 국토부 야심작 공공리츠, 수천억 손해
분양형 실버타운 재도입 약속했던 정부, 정권 바뀌자 나몰라라

오늘의 땅집GO

입주 2달 만에 한밤중 물벼락 맞은 아파트 "소방점검 하루 만에…"
분양형 실버타운 재도입 약속했던 정부, 정권 바뀌자 나몰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