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경사진 산중턱, 층마다 경치 달라지는 3층 주택

뉴스 최지희 월간 건축문화 기자
입력 2020.07.21 05:14 수정 2020.07.21 07:50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건축] 경사지에 지은 아치형 벽돌집 ‘브릭 볼트 하우스(Brick Vault House)’

[땅집고]벽돌로 지은 3층 단독주택 '브릭 볼트 하우스'. /ⓒMariela Apollonio
[땅집고]벽돌로 지은 3층 단독주택 '브릭 볼트 하우스'. /ⓒMariela Apollonio


스페인 발렌시아 누에바 산타 바바라에 3층 벽돌집 ‘브릭 볼트 하우스(Brick Vault House)’가 있다. 이 집은 천장을 아치형으로 만들기 위해 벽돌로 견고하게 지었다. 벽돌로 빽빽하게 지붕을 올려 다소 무거운 느낌을 주지만 외벽을 흰색으로 칠해 답답한 느낌을 해소했다.

◆건축 개요

[땅집고]'브릭 볼트 하우스' 단면도. /ⓒSapce Popular
[땅집고]'브릭 볼트 하우스' 단면도. /ⓒSapce Popular


건축가 : 스페이스 포퓰러(Sapce Popular)
위치 : 스페인, 발렌시아, 누에바 산타 바바라
연면적 : 235㎡
대표건축가 : 라라 레슴스(Lara Lesmes), 프레드릭 헬버그(Fredrik Hellberg)
사진작가 : 마리엘라 애플로니오(Mariela Apollonio)

◆건축가가 말하는 이 집은…

[땅집고] 자연 환경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경사를 살려 지었다. /ⓒMariela Apollonio


건축가는 주변 자연 환경을 고려해 집을 지었다. 그래서 주변 땅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산비탈 경사지 중턱에 지었다. 집 바로 옆에 흙비탈이 그대로 남아 있는 이유다. 인근에 산이 있는 것을 고려해 내부 인테리어에 초록색을 이용했다.

■ 층마다 달라지는 조망

이 집은 경사지에 지어 층마다 다채로운 외부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먼저 1층에서는 숲을 조망할 수 있다. 2층에서는 이웃집이 한 눈에 들어온다.

[땅집고] 1층에서는 주변 숲을 조망할 수 있다. /ⓒMariela Apollonio


[땅집고] 2층에서는 이웃집을 조망할 수 있다./ⓒMariela Apollonio


■ 녹색 철근으로 통일감과 분리감을 동시에

건물 내·외부 모두에 녹색 철근을 둘러 통일감을 준 것도 특징이다. 초록색 철근은 집 주변 자연환경과 잘 어우러진다.

[땅집고] 집 내외부에 초록 철근을 사용했다./ⓒMariela Apollonio


초록 철근을 경계로 구획이 나뉘어진다. 보이지 않는 경계 덕분에 공간을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땅집고] 초록 철근 덕분에 자연스럽게 공간이 구분됐다./ⓒMariela Apollonio



화제의 뉴스

1025대1 청약경쟁률 대치동 새아파트, '11억 분담금' 폭탄 위기
디벨로퍼 STS, 베트남 '인텔라 시티' 개발에 신세계프라퍼티 합류
대우건설 "개포우성7차, 빌모트 설계로 '공원형 단지' 만들 것"
'김건희 인맥' 서희건설, 지주택 뇌물·공사비 폭탄·하청 갑질까지
6.27 규제 부작용?…"수도권 10건 중 7건이 월세, 전세 소멸"

오늘의 땅집GO

'김건희 인맥' 서희건설, 지주택 뇌물·공사비 폭탄·하청 갑질까지
6.27 규제 부작용?…"수도권 10건 중 7건이 월세, 전세 소멸"